[수산봉수 제주살이] '탄소 배출 없는 섬'의 미래
제주에서 도로를 따라 차를 몰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풍경이 있다. 거대한 풍력발전기가 멈춘 채 서있는 장면이다. 3메가와트급 육상 풍력발전기 건설비용이 45억 원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풍력발전기는 멈춰 서있는 것 자체가 엄청난 비용손실이다.
문제 해결의 열쇠인 에너지저장장치와 송전선 설치 비용 문제는 전력 과잉생산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가둬 뒀다가 나중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 보급은 막대한 비용이 들고 설비 도입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산업부는 최근 발표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6년까지 26GW 규모 ESS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대 45조 4000억 원이 필요하다고 소요 재원을 밝혔다.송전선 문제도 마찬가지다. 제주 지역에 과도하게 생산된 에너지는 연계선을 통해 에너지를 많이 쓰는 육지로 보내야 한다. 문제는 연계선 설치가 제주 주민만의 동의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제주에서 전남 완도로 전력을 보내는 송전선은 올해 완공할 예정이었지만 완도군 주민의 반발로 착공이 늦춰졌다.
제주도가 탄소 배출 없는 섬으로 가는 과정을 기록하고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CFI 미래관의 임동환 대리는 꼭 필요한 기반 시설을 설치하려 할 때 발생하는 민원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그는"어떤 기반시설 구축이든 사업에 직접 영향받는 100명이면 100명의 민원을 전부 해소해야 사업이 추진될 수 있다"고 말했다.제주지역이 진정으로 탄소 배출 없는 섬이 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갈등이 산적해 있다. 육지와 연결하는 송전선 문제와 함께 해상 풍력발전도 어업권과 조망권 침해 문제에 부닥쳐 있다. 하지만 전체 부지 중 79㎡만 국유지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유지인 것으로 파악됐다. 755억 원을 들여 48.5㎿ 대규모 태양광발전 시설을 조성할 계획인데 태양광 모듈이 풍력발전 모듈보다 상대적으로 싼 것으로 미루어 대부분 사업비가 토지 보상에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제주 ‘나만 아는 SNS 명소, 블루홀’ 출입통제구역 지정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제주의 숨겨진 물놀이 명소로 알려진 일명 ‘블루홀’이 출입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회 본회의 개최 무산…11월까지 민생법안 처리 '안갯속'이재명 대표가 구속되느냐 마느냐에 모든 관심이 쏠리는 일종의 '블랙홀' 상황이 되면서 국회는 사실상 멈춰 섰습니다. 오늘(26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치에 속지 않기] 구청장 선거일 뿐인데 전국 이벤트가 된 이유10월 11일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가 열린다. 기초단체장 선거로, 평소 같으면 별다른 주목 없이 지나갈 선거다. 하지만 몇가지 조건이 겹치면서 ‘판’이 커졌다. 총선을 6개월 앞두고 열린다는 점, 국민의힘에선 검찰 수사관 출신으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사면·복권을 받은 직전 구청장이 후보이고 민주당에선 이재명 대표의 ‘픽‘을 받은 경찰 출신 인물이 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 아이] 한 재일동포 작가가 말하는 ‘내가 책을 쓴 이유’그 속에 존재했던 오카와 서장의 이야기를 그는 어떤 연유로 책에 담았을까. 어렵사리 만난 오카와 서장의 아들은 당시 자료들을 그에게 보여줬고, 서장의 이야기는 그렇게 책에 담겼다. 책을 본 한국의 한 대학병원에서 오카와 서장 이야기를 들려달라며 연락을 해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정치가 후진적인 이유이재명 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을 보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