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폐배터리) 활용 산업이 속도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전...
제주에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활용 산업이 속도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사용 후 배터리를 폐기하지 않고 전기저장장치 등으로 안전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제도’가 지난 19일 시행된 데 따른 것이다.그간 전기차 등에서 수거한 사용 후 배터리를 재사용하려는 수요는 있었으나 체계적인 안전검사 제도가 없어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주도는 제주테크노파크가 전국 1호 안전성검사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안전성 검사를 받으려는 제주지역 기업의 시간·경제적 부담을 덜고 배터리 활용 산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는 다른 지역보다 일찍 전기차가 보급됐고, 등록 차량 중 전기차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다. 폐기하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전기차 폐배터리 처리 문제도 다른 지역보다 일찍 논의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 때문에 제주에서는 그동안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각종 제품 개발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제주에는 2019년 전국 제1호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도 문을 열었다. 김창세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제주테크노파크가 안전성검사기관으로 지정됨에 따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응용제품을 도민 일상에서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방위 밀착 강화...北, 러시아 통해 제재 활로 뚫나?[앵커]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방북으로 북한과 러시아가 전략적 연대를 강화하면서 전방위로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특히 김정은 위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방위 밀착 강화...北, 러시아 통해 제재 활로 뚫나?[앵커]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방북으로 북한과 러시아가 전략적 연대를 강화하면서 전방위로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특히 김정은 위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회 금지의 땅' 4년만에 열렸다…시민이 이긴 '인천애뜰 전쟁'2019년 8월 인천시가 ‘인천애뜰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을 인천시의회에 제출하면서다. 그해 12월 20일 '인천애뜰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6조와 제7조가 집회의 자유 등 기본권을 침해했다'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집회불허공간’으로 남아있던 인천애뜰은 지난달 26일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인천애뜰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7조 1항 5호 가목이 위헌이라고 판단하면서 비로소 열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때문에 수명 갉아먹는 ‘이것’ 찾아왔다…제주 가장 많고 30대男 ‘걱정’질병청, 지자체별 비만율 현황 발표 신체활동 위축으로 비만율 다시↑ “건강수명 낮아져 유의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검은 모래만...이 순간에도 사라지는 제주 몽돌조약돌처럼 둥근 몽돌로 유명한 제주시 내도동 알작지.몽돌이 가득해야 할 해안가에 돌은 사라져 찾기 어렵고 곳곳에는 검은 모래만 남아있습니다.이곳은 동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엄마 잃고 시인 된 제주 소년, 유재석도 울렸다…영화감독 아빠의 '약속'엄마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어린 아들이 시를 쓰기 시작한 초등학교 2학년 즈음부터 아빠와 함께 엄마의 수목장 나무를 처음 찾아가는 1년 뒤까지 3년간을 주로 담은 작품이다. 시우군이 '엄마가 저를 품에 안고 ‘시우야 사랑해’ 하고 말하는 장면, 아빠와 카드게임 하는 웃긴 장면'과 함께 가장 좋아한다고 꼽은 장면이다. 민 감독은 '이 영화의 모든 것, 엄마를 다시 만나고 싶은 시우의 소원을 들어준 장면'이라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