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 사령탑’이었던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퇴임 후 첫 공개강연에 섰습니다. 그는 “(미래 감염병에 대한 준비는) 지금 시작해도 늦은 감이 있다”며 “지난 3년을 다시 평가하고 이행계획을 수립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감염병 🔽 자세히 알아보기
28일 오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물 강의실에서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COVID-19 팬데믹 교훈’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서혜미 기자 ‘코로나19 방역 사령탑’이었던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퇴임 후 첫 공개 강연에서 “감염병 위기는 언제든지 올 수 있다”며 미래 감염병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를 강조했다. 정 전 천장은 28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 대학원 비케이연구단이 주관한 건강재난특강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교훈’이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이날 정 전 청장은 “ 지금 시작해도 늦은 감이 있다”며 “지난 3년을 다시 평가하고 이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지난 10월 전 세계적 감염병 유행에 대비하는 등 바이오 안보 전략을 발표하며 향후 5년 동안 880억달러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이처럼 말했다.
근거를 마련하는 게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어서 위기대응전략과 분야별 계획을 수립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예컨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소상공인 자영업자 손실보상이나 교육‧돌봄 등 각 분야별로 필요한 법 제도화나 관련 매뉴얼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30여분간의 강연을 마무리하며 “구체적 인력 투입 계획, 예산 투입 계획 등 로드맵이 나와야 계획이 이행된다”며 “공공과 민간, 코로나19를 대응했던 모든 부처가 참여하는 분야별 계획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뒤엔 보건대학원생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정 전 청장은 위기 소통에서 가장 어려웠던 분야는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이었다고 꼽았다. 그는 “신종 감염병에 대해 새롭게 도입한 백신에 대해 어떻게 이상반응을 감시하고, 인과관계를 역학적으로 판단하고, 광범위하게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이 뭔지 소통 방법을 고민하는 게 힘들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우주항공청’으로 달 자원 채굴할 수 있을까…과학계 ‘우려’, 왜?정부가 향후 한국의 우주개발 청사진인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이를 총괄할 기관인 우주항공청 설립도 공식화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軍, 희망 장병 대상 코로나19 추가접종…이튿날까지 휴무 부여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국방부는 28일부터 다음 달 23일까지 군 장병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추가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메타버스 윤리원칙 제정…'가상공간 윤리이슈에 선제대응'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메타버스를 미래 국가 경쟁력 핵심 중 하나로 키우겠다고 밝힌 정부가 메타버스에서 적용될 윤리원칙을 만들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19 개량 백신, 꼭 맞아야 하나요?...종류보다 빨리 맞는 게 중요[앵커]코로나19 재유행이 중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고 있지만, 개량 백신 접종률은 기대만큼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접종이 여러 차례 반복되면서 백신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됐다는 분석인데요.겨울철 추가 백신 접종에 대한 궁금증들을 기정훈 기자가 정리했습니다.[기자]방역 당국은 최근 코로나19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