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을 위해 지자체가 해야 할 세 가지

대한민국 뉴스 뉴스

정신장애인을 위해 지자체가 해야 할 세 가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4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1인당 GNI(국민총소득) 4,724만 8천원, 경제 선진국 대한민국에서는 아직도 장애인의 지역사회 거주 권리 보장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최근 서울특별시의회는 장애인의 탈시설 지원 조례를 폐지했다. 탈시설이라는 의미는 좁게는 장애인복지시설을 넓게는 정신장애인 입원 기관까지 아우르는 개념...

1인당 GNI 4,724만 8천원, 경제 선진국 대한민국에서는 아직도 장애인의 지역사회 거주 권리 보장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최근 서울특별시의회는 장애인의 탈시설 지원 조례를 폐지했다.

2022년 기준 정신장애인은 1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이들을 위한 지역사회의 위기쉼터는 3곳, 재활시설은 전국 349곳에 불과한데, 이에 반해 전국의 정신의료기관은 2109곳에 달하여,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 거주할 권리를 보장하는 사회복지시설 대비 6배 많은 것이다. 장애인의 지역사회 거주 요건은 ▲ 주거지 확보 ▲ 규칙적 의료기관 치료 ▲ 공공부조 등 서비스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연계인데, 정신장애인들에게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는 높은 벽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서비스 공백은 오롯이 가족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지역사회의 복지사무를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는 본연의 역할과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무조건적으로 탈시설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근래 발생된 정신의료기관 내 정신장애인 사망 사건과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이 미흡한 점을 토대로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일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균형점을 찾자는 의미에서 주장하는 것이다.지방자치단체는 관련법에 따라 정해진 권한을 기반으로 정신의료기관에 대한 지도 점검을 철저하게 수행햐야 할 것이다. 의료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소는 ▲ 진료기록부 작성 여부 ▲ 마약류 취급 적정관리 여부 ▲ 개설자 준수사항 등에 대해 지도점검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정신의료기관 내 폭력, 사망사건에 대해 법에 따라 엄중히 조사할 필요성이 있고, 이것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다.

정신장애인의 무조건적인 탈시설 정책 주장도 문제지만, 기약 없는 장기적인 병원 입원도 능사는 아니다. 그러나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정신병원 대비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머물 수 있는 사회복귀시설 등의 실태도 미비한 것은 사실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강남3구에 몰리는 외국인 가사도우미...이대로 괜찮나강남3구에 몰리는 외국인 가사도우미...이대로 괜찮나[소셜 코리아] 외국인 가사도우미 도입보다 먼저 해야 할 일... 돌봄 일자리 질 높여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론화 요구 많은 AI 교과서, 의견수렴 해야 할 국교위는 ‘뒷짐’공론화 요구 많은 AI 교과서, 의견수렴 해야 할 국교위는 ‘뒷짐’사회적 합의 기구인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가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둘러싼 논의에 1년 넘게 뒷짐을 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천도인륜(天道人倫)으로 해야 할 일” 다시 발의된 중간착취방지법“천도인륜(天道人倫)으로 해야 할 일” 다시 발의된 중간착취방지법올해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간접고용 노동자들이 겪는 중간착취 문제 해결을 위해 ‘중간착취 방지법’ 입법을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21대 국회에서 임기 만료로 폐기된 이 법안들은 다시 되살아났을까요? 확인해 보니, 국회 부의장인 이학영 민주당 의원이 3개의 관련 법안을 6, 7월에 걸쳐서 대표 발의했습니다. 건설업 외 공공 도급에도 임금을 구분해서 지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 그림은 세대별 인구수를 나타낸 것이다. 60대는 1차 베이비붐 세대, 50대는 2차 베이비붐 세대에 속한다. 두 세대를 합하면 1700만 명에 육박한다. 우리나라 인구(5163만 명/2022년 기준)의 3할이 넘는 수치다. 산업화 세대의 자녀 세대가 X세대,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 세대가 Y세대다. 1차 베이비붐 세대는 사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철학 교사가 꼽은 진정한 욕구 세 가지철학 교사가 꼽은 진정한 욕구 세 가지철학(哲學)이 무엇이냐고 묻는 사람, 대답하는 사람들이 만난 공간. 특히 청소년과 청년을 대상으로 '맛있는 철학' 이야기를 들려주는 철학자의 추천을 받고 인문학강연을 열었다. (사계절 2010)을 쓴 안광복 작가다. 안 작가는 철학교사라는 특별한 이름이 있어서 질문했는데, 전국에 약 30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태준의 마음 읽기] 여름날의 세 가지 장면[문태준의 마음 읽기] 여름날의 세 가지 장면조금은 느닷없이 동네 서점에 들러 주인이 읽기 시작한 책인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나도 읽기 시작했다. 무더운 여름을 의미 있게 보내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책을 한 권 한권씩 완독하는 것도 권할 만한 일이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어쨌든 나는 이 무더운 여름이 다 가기 전에 몇 차례 더 책을 사러 동네 서점에 다녀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 문태준의 마음 읽기,여름날,여름 바닷가,동네 서점,나의 라임오렌지나무,소나기,자연,바닷가,독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4: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