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포털 중국어 사전이나 중·고교 중국어 교과서 등에 김치가 '파오차이'(泡菜)로 번역돼 논란이 된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가 김치의 중국어 번역과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다.22일 문체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훈령 개정안이 이날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이번...
22일 문체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훈령 개정안이 이날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파오차이는 중국의 절임 채소로 김치와 모양, 제조 방법, 발효 단계 등에 큰 차이가 있는 전혀 다른 식품이다. 하지만 중국이 김치를 '한국 파오차이'라고 부르면서 김치의 기원을 중국이라고 왜곡해 논란이 일었다.
문체부는"중국어에는 '기', '김'을 소리 내는 글자가 없어 김치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기 어렵다"며 신치 표기를 택한 이유를 밝혔다. 지난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이런 이유로 중국어 발음 약 4,000개를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김치의 중국어 표기로 신치를 제안한 바 있다.이와 함께 문체부는"최근 식품업계 등 민간에서 신치를 비롯한 김치의 중국어 표기 방안을 요구했던 점도 고려했다"고 밝혔다. 다만 민간에서는 해당 훈령 적용을 강제하지 않기 때문에 김치 업계 및 관련 외식업계 등에서는 사업 환경에 따라 훈령을 참고해 번역·표기할 수 있다. 중국 식품안전국가표준 등 현지 법령상 중국 내에서 유통·판매되는 식품에는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명칭인 '진실 속성'을 반영하는 표기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한편 이번 훈령 개정을 통해 한국어 발음을 그대로 살리는 번역의 범위도 확대됐다. 예를 들어 순대나 선지를 '블러드 소시지', '블러드 케이크' 등으로 번역하면 외국인에게 혐오감이나 거부감을 준다는 우려를 반영해 소리 나는 대로 'sundae', 'seonji'로 표기하도록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BTS도 곤혹스러웠던 '파오차이' 논란···'신치'로 표기 바꿨다개정된 훈령은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 용례를 ‘신기(중국어 발음: 신치)’로 바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BTS도 곤혹스러웠던 '파오차이' 논란···'신치'로 표기 바꿨다개정된 훈령은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 용례를 ‘신기(중국어 발음: 신치)’로 바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설현장 체감온도 38도인데…“10명 중 7명 휴게실 없거나 멀다”안전모에 마스크를 쓰고 피부 보호용 긴 소매와 긴 바지까지 입은 건설 노동자들은 잠깐만 서 있어도 머리부터 발끝까지 땀이 흐른다고 했다. 폭염 속에서 일한 지 10여분 만에 마스크도 땀에 젖어 소금물이 뚝뚝 흘러내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