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력 센 눈병인가 했더니…지긋지긋한 그놈, 또 새 변이 떴다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전파력 센 눈병인가 했더니…지긋지긋한 그놈, 또 새 변이 떴다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5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3%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서 '눈병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r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기존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보다 전염성이 강한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빠르게 확산해 세계보건기구가 긴장하고 있다. 이 변이에 감염되면 특히 이전 변이들에선 보기 어려웠던 '눈병 증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19일 미국 CBS, 악시오스 등에 따르면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1.16'은 지금까지 미국·인도·중국·싱가포르·호주·홍콩 등 최소 29개국에서 발견됐다. WHO는 이 변이에 대해"우리가 주시해야 할 잠재적 변화가 있다"며 이 변이를 '감시 변이' 목록에 올렸다. 지난 1월 처음 발견된 이 변이가 급속하게 확산 중인 인도에선 하루 확진자가 지난 2월 100명대에서 최근 1만 명대로 100배 급증했다. 이에 따라 인도 일부 지역에선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의무 착용을 부활시켰다. 미국에선 이 변이가 전체 감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월 첫째 주 3.9%에서 지난주 7.2%로 증가했다. XBB.1.16 변이는 중국에서도 검출됐다고 현지 언론이 18일 전했다.

외신에 따르면 이 변이 감염자들에게선 기존 코로나19 증상 이외에 결막염이나 안구 충혈, 눈 가려움 증상 등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청소년들에게서 이런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알려졌다.인도의 소아과 의사 비핀 바시시타 박사는"눈곱이 끼고 가려움을 동반한 결막염 증상을 보이는 코로나19 환자들이 늘고 있다. 이는 이전 코로나19 파동에선 보지 못했던 현상"이라며"이전 변이들과 다른 XBB.1.16 변이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보인다"고 힌두스탄타임스에 말했다. 최근 도쿄대 연구진은"XBB.1.16 변이의 전염성이 또 다른 오미크론 하위 변이 XBB.1.5보다 1.2배가량 강하다"며"가까운 미래에 전 세계로 번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미국 등에서 우세종인 XBB.1.5 변이는 '크라켄'이란 별칭을 얻을 정도로 전염성이 이전 변이들보다 강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마이크 콴 얏와 홍콩대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XBB.1.16 변이 감염자에게선 눈병 증상이 나타나는 만큼 이들과 접촉할 땐 눈병이 옮지 않도록 반드시 보안경 등을 착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딸이 자랑스레 기억하길'…4명에 새 삶 주고 별이 된 30대 아빠 | 중앙일보'딸이 자랑스레 기억하길'…4명에 새 삶 주고 별이 된 30대 아빠 | 중앙일보8살 딸에게, 아빠 다시 못 본단 말을 어떻게 해야 하나 마음 아팠던 가족. 그래서, 기증을 결심했습니다.\r아빠 딸 장기기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범죄도시 현실판? '우리 접대부 써' 칼 들고 노래방 협박한 조직 | 중앙일보범죄도시 현실판? '우리 접대부 써' 칼 들고 노래방 협박한 조직 | 중앙일보피해를 본 노래방은 총 40개 업소에 달했습니다.\r서울 가리봉동 노래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포착] '등굣길 사고' 이후 3명 살리고 떠난 11살 천사가 남긴 글엔[포착] '등굣길 사고' 이후 3명 살리고 떠난 11살 천사가 남긴 글엔'사랑하오나 만날 수 없도다...' -로빈 15- 교통사고로 뇌사상태가 된 11살 소년이 장기기증으로 3명에게 새 삶을 선물하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30 15:4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