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인데 '어린이집' 입소는 여전히 바늘구멍... '엔데믹' 보육난 심화

대한민국 뉴스 뉴스

저출생인데 '어린이집' 입소는 여전히 바늘구멍... '엔데믹' 보육난 심화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kookilbo
  • ⏱ Reading Time:
  • 78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4%
  • Publisher: 59%

최근 3년 새 민간ㆍ가정어린이집 약 8,000곳이 폐원한 데다, 최근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에 따른 보육 수요도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어린이날을 하루 앞둔 4일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을 찾은 어린이집 원생들이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육아휴직을 하고 생후 6개월 된 둘째 아이를 돌보고 있는 김모씨는 최근 집 근처 민간어린이집에 입소 신청을 했다. 휴직이 끝난 뒤 복직해도 재택근무가 없어져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서다. 다행히 자리는 있었다. 그런데 어린이집은 “아이가 너무 어리다”며 받기를 꺼렸다. 대신 지금 등록해 매달 60만 원을 내면 자녀가 좀 더 컸을 때 1세 반에 넣어 주겠다고 제안했다. 김씨는 입소 경쟁이 워낙 치열한 탓에 울며 겨자 먹기로 우선 등록할 수밖에 없었다. 저출산 여파로 어린이집 대기 아동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막상 입소는 어려운 모순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3년 새 민간ㆍ가정어린이집 약 8,000곳이 폐원한 데다, 최근 ‘엔데믹’에 따른 보육 수요도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보육난이 가중되자 부모들 사이에서는 “출생 직후 입소 신청하라”, “자릿값이라 생각하고 원비를 내라” 등의 팁까지 공유되고 있다. 여전히 빈약하기만 한 우리의 보육 현주소다.2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민간ㆍ가정어린이집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 전인 2019년 2만9,685곳에서 지난해 말 2만1,835곳으로 7,850곳 줄었다. 감염병이 전국을 휩쓸던 3년간 해마다 2,500곳씩 문을 닫은 셈이다. 저출산에다 바이러스 확산까지 겹쳐 집에서 아이를 돌보는 가정이 늘어난 결과로 해석됐다. 같은 기간 어린이집 입소 대기자가 23.5% 줄었는데도, 어린이집 입소가 쉽지 않았던 이유다.

물론 3년 동안 국ㆍ공립어린이집 1,500곳이 신설되면서 민간ㆍ가정어린이집 줄폐원에 따른 공급 충격을 어느 정도 상쇄했다. 정부는 2019년부터 새로 짓는 500가구 이상 아파트 단지에 국ㆍ공립어린이집 설치를 의무화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재택근무 폐지,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 등 일상 회복과 함께 어린이집 수요가 다시 급증하면서 수급 불일치 현상이 눈에 띄게 가중되고 있다. 본보가 취재한 서울 민간ㆍ가정어린이집 10곳 중 7곳은 코로나19 종식과 맞물려 입소를 원하는 문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직장으로 출근하는 엄마들이 많아져 대기자도 최대 3배 늘었다”며 “특히 0~1세 반에 문의가 집중되고 있다”고 귀띔했다.실제 육아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어린이집 입소 관련 각종 팁이 수시로 올라오고 있다.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입소 대기를 걸어두는 건 기본. 김씨처럼 보육료를 먼저 내고 자리를 선점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정부의 공보육 활성화 정책은 바람직하다. 다만 당장 3만 개가 넘는 전체 어린이집의 70%를 차지하는 민간ㆍ가정어린이집 폐업을 방치하다간 보육 전쟁을 외려 심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많다. 아직 국ㆍ공립어린이집 비율은 채 20%가 되지 않는다.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관계자는 “새로 생긴 공립어린이집에 원아가 몰려 인근 민간어린이집이 문을 닫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며 형평성을 갖춘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0 0 공유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kookilbo /  🏆 9.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주 40개월 만에 ‘엔데믹’으로···내달부터 격리의무 사라진다이번주 40개월 만에 ‘엔데믹’으로···내달부터 격리의무 사라진다다음달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단계가 내려가면서 40개월여만에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주 복통·설사에 살까지 빠진다면…단순 배탈이 아닐 수 있다 | 중앙일보4주 복통·설사에 살까지 빠진다면…단순 배탈이 아닐 수 있다 | 중앙일보이 병, 과민성 장 증후군이나 장염으로 오해받기도 합니다.\r배탈 설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일부터 격리 의무 사라진다…40개월 만의 '사실상 엔데믹'1일부터 격리 의무 사라진다…40개월 만의 '사실상 엔데믹'6월 1일 0시부터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가 사라지고 마스크 착용 의무도 병원급 의료기관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해제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교도 엔데믹…6월부터 확진자 의무격리 대신 ‘격리 권고’학교도 엔데믹…6월부터 확진자 의무격리 대신 ‘격리 권고’새달부터 코로나19에 확진된 학생은 7일 동안 의무적으로 격리하는 대신 5일 동안 격리하도록 권고받게 된다. 유증상 학생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한국 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한국은행이 2년 가까이 긴축 기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우리나라 가계 빚은 여전히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많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국제금융협회의 '세계 부채 보고서'를 보면 올해 1분기 기준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2.2%로 세계 34개 나라 가운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년간 긴축에도…한국 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2년간 긴축에도…한국 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지난 2년 가까이 통화 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가계 빚은 여전히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8:4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