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앞. 연합뉴스 최근 저축은행 기업대출 중에 부동산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손실 흡수 능력을 갖추려면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이 10일 내놓은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보고서를 보면 최근 5년간 국내 비금융 기업부문의 총부채 가운데 부실기업의 부채 증가율이 전체 기업에 견줘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지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스피·코스닥·코넥스 기업에 외부감사법인까지 포함해 약 3만5천개 기업의 회계정보 자료를 이용해 2018년~2022년 부채 리스크를 측정하고 확률이 10%를 초과하면 부실기업으로 분류했다”며 “부실기업 부채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부동산업, 운수업, 건설업의 부실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8%로 증가했다. 2022년 말 현재 업종별 부실기업 부채 비중을 보면, 농림어업·광업을 제외하면 부동산업이 29.3%로 가장 높았고 운수업과 건설업 부실 비중도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부동산업의 부실기업 증가는 주택경기 부진으로 임대·중개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로 일부 개발·시행사업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업도 부동산 피에프 부실 우려와 사업 지연에다 아파트 분양 저조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재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업종별 부실기업 비중과 부도확률을 은행과 저축은행의 대출 구성에 적용해 기업대출 부실에 대한 흡수 능력을 업권별로 측정했다. 그 결과 2022년 말 기준 저축은행의 부실대출액은 자기자본 대비 18.8%로, 일반은행보다 훨씬 높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은폐 주범은 文' vs '흑색선전'...신구권력 또 충돌[앵커]김만배 씨 허위 인터뷰 의혹으로 부산저축은행 부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은폐 주범은 文' vs '흑색선전'...신구권력 또 충돌[앵커]김만배 씨 허위 인터뷰 의혹으로 부산저축은행 부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만명 넘는 비대한 조직LH …전문가들 내놓은 개혁 방향은?정부는 최근 철근누락 아파트 단지 사태로 부실 문제가 불거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 개혁과 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축은행 상위 5개사, 부동산PF 연체율 1년 새 3배↑지난 2분기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이 1년 사이 3배 급등한 것으로 나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토부 11일부터 ‘민관합동 PF 조정위’ 재운영국토부, 11일부터 민관합동 부동산 PF 사업 조정신청 접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尹대통령, ‘믹타’ 정상회동서 “글로벌 복합위기 극복 위해 연대”믹타 정상, 공동언론 발표문 채택…“유엔 중심 다자체제 강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