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재료디지털플랫폼연구본부 소재데이터센터 김세종, 나주원 박사 연구팀이 포항공과대학교 이승철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인간과 인공지능(AI)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재료의 미세조직 상을 자동으로 구분하고 정량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인간과 인공지능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신소재 개발 과정에서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통합 미세조직 정량 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인간-인공지능의 협력 프레임워크가 다양한 재료, 미세조직, 현미경 시스템에 걸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 재료디지털플랫폼연구본부 소재데이터센터 김세종, 나주원 박사 연구팀이 포항공과대학교 이승철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미경 이미지로부터 재료의 미세조직 상을 자동으로 구분하고 정량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인간과 인공지능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신소재 개발 과정에서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통합 미세조직 정량 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인공지능이 단 한 장의 미세조직 이미지와 이에 대한 전문가의 대략적인 스케치만으로 미세조직 상 구분작업을 수행하게끔 한다. 또한 인공지능은 전문가에게 능동적으로 스케치를 요구해 인간과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보인다. 연구팀은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인간-인공지능의 협력 프레임워크가 다양한 재료, 미세조직, 현미경 시스템에 걸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도망 기술' 배우고 가스총·삼단봉 들고 순찰하는 시민들불특정 다수를 향한 강력 범죄가 이어지자 시민들은 자기 몸을 지키는 법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호신술의 가장 첫 번째 기술은 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텔의 부활 예고 “최근 10년 최고 기술…EUV 장비 충분히 확보”그림 부사장은 인텔에서 23년 동안 첨단 공정 개발에 관여해왔다. 그림 부사장은 '그 결과 모든 제조 공정이 늦어졌다'면서 '드디어 ‘인텔4’ 공정을 통해 따라잡기(catch-up)를 시작했다'고 자평했다. 여기에 하반기 중 인텔4 공정에서 전력 효율을 집중적으로 개선한 ‘인텔3’ 공정 양산에 돌입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붙은 비만약 개발 경쟁 … K제약 잇단 도전장국내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한미약품·LG화학 뛰어들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광운대 장민 교수 연구팀, 수중 미량오염물질 제거율 향상을 위한 광-오존 촉매 및 공정 개발광운대학교 장민 교수(환경공학과) 연구팀은 김민지 석사(제1저자)와 함께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 향상된 광-오존 촉매 및 가시광-오존 산화 공정을 개발하고 미량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오존산화, 광산화, 광촉매, 펜톤 및 유사 펜톤 공정과 같은 고급 산화 공정(AOP)은 독성 및 내화성 미량오염물질 오염수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대안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Ce는 란탄족계열의 희토류 산화물로 산소 공석을 이용한 유사 펜톤 작용을 통해 오존을 분해하여 촉매 오존화에서 선호되는 재료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직 경찰관, 위급상황 신속 대처 '총집' 개발이천경찰서 대월파출소 권오성 경감... 범죄자 총기 탈취 방지와 신속한 발총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적 예술가·과학자들 개최 국제 환경전…내달 2일 아시아 첫 전시우리넷 자회사 갤러리스테어가 아시아 첫 국제 환경전시를 개최한다. 세계적 예술가들과 MIT 과학자가 함께하는 국제 환경전 TEA는 기술(T)과 환경(E), 예술(A)이 접목된 세계적인 기후위기 환경 단체의 전시다. 기술(T)과 환경(E), 예술(A)이 접목된 이번 티타임(TEA Time) 전시는 갤러리스테어에서 9월 2일부터 1차와 2차에 걸쳐 2주동안 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