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2주택 주택처분기한 3년 소급적용…재작년 산 집도 혜택 SBS뉴스
이에 따라 재작년에 주택을 사들여 당장 올해 안에 주택을 처분해야 했던 2주택자들은 물론, 2020년에 집을 한 채 더 구입한 2주택자들도 내년까지 주택을 처분할 시간을 벌 수 있게 됐습니다.정부의 발표로 시행령 개정안 효력이 발생한 2023년 1월 12일 이전에 주택을 매수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주택 처분 기한이 3년으로 늘어난다는 의미입니다.
이에 따라 과거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신규 주택을 매수한 일시적 2주택자도 3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처분하고 2주택 상황을 해소하면 1세대 1주택자로서 세금 혜택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취득세 역시 8%에 달하는 중과세율이 아닌 1∼3% 수준인 기본세율만 부담하면 됩니다. 기존 규정에서는 현재 조정대상지역 여부와 관계없이 과거 조정대상지역에서 주택을 보유한 사람이 조정대상지역에서 추가로 주택을 구입한 경우 무조건 기존 주택을 2년 이내에 처분해야 했습니다.가령 2021년 9월에 당시 조정대상지역이자 투기과열지구였던 동탄2신도시에 주택 1채를 추가로 구매한 일시적 2주택자의 경우 동탄은 2022년 11월에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됐지만, 조정대상지역 지정 당시 주택을 사들였기 때문에 2023년 9월까지 주택을 처분해야 세금 혜택을 볼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일시적 2주택자의 주택 처분 기한은 조건 없이 3년으로 연장됐고, A 씨는 2024년 9월까지 주택을 처분할 시간을 추가로 벌 수 있게 됐습니다.다만 2020년에 이사 등의 목적으로 주택을 한 채 더 사들였을 경우에는 대부분 지난해에 집을 처분했을 가능성이 큽니다.종부세 역시 마찬가지로 세금 혜택을 받기 위한 주택 처분 기한이 2년에서 3년으로 늘어납니다.
종부세의 경우 지난해부터 2년 이내 주택을 처분하면 1세대 1주택 혜택을 유지해주는 과세 특례가 도입됐는데, 지난해 처음으로 특례를 적용받은 사람들도 소급해서 3년 이내에 주택을 처분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앞서 정부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주재한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일시적 2주택자가 1세대 1주택자로서 과세 특례를 적용받기 위한 주택 처분 기한을 3년으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소득세법·지방세법·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이로써 일시적 2주택자의 주택 처분 기한은 문재인 정부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게 됐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 2주택 주택처분기한 3년 소급적용…재작년 산 집도 혜택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과거 조정대상지역에서 집을 산 일시적 2주택자도 3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팔면 1세대 1주택자로서 세금 혜택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거래 가뭄'에 이색 현상...교환 거래 7배 증가맞교환 원하는 지역·면적 등 기재해 상대 찾아 / 카카오톡에도 ’교환 거래’ 오픈 채팅방 활성화 / 비과세 혜택 노리는 일시적 2주택자 수요 많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영학이 쓴 수사 설명서...'난 심부름만'정영학 녹취록, 2014년 이전·2019년 이후로 구분 / 녹취록마다 요약본·관계도 첨부…곳곳에 주석도 / 김만배, 정영학 신임한 듯…남욱과는 ’삐걱’ / 2019년부터 이익 다툼 심화…김만배 '너무 지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포착] '나무 위에서 산 지 3년째'…빈털터리 태국인의 사연경제 사정으로 인해 3년간 집 대신 나무 위에서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태국 남성의 사연이 알려졌습니다. 태국 현지 매체 '더 타이거'는 3년간 태국 콘깬 지역의 한 나무 위에서 생활하고 있는 찰리의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