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작년 7115만명 이용…국제선 7066만명 역대 ‘최다’

인천공항 뉴스

인천공항 작년 7115만명 이용…국제선 7066만명 역대 ‘최다’
국제선이용객성수기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17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1%
  • Publisher: 51%

지난해 인천공항 이용객은 7115만명으로 역대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선 기준으로는 개항 이후 역대 최다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난해 인천공항 이용객 은 7115만명으로 역대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선 기준으로는 개항 이후 역대 최다이다.

전체 이용객 중 국제선은 7066만9246명으로, 개항 이후 최다이다. 이는 기존 최다인 2019년 7057만8050명에 대비 0.1%인 9만1196명 증가한 것이다. 2023년 5576만3768명보다는 26.7%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 여객 실적은 동남아가 29.9%인 2103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본이 25.1%인 1774만명, 중국이 14.3%인 1008만명, 미주 9.3%인 654만명, 동북아 9.2%인 651만명 순이다.지난해 환승객은 823만명으로 2023년 720만명보다 14.3% 증가했다. 그러나 허브공항의 지표인 환승률은 11.5%에 그쳤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국제선 이용객 성수기 중국 동남아 항공수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한항공, 2024년 국제선 이용 데이터 공개: 후쿠오카 여행 인기대한항공, 2024년 국제선 이용 데이터 공개: 후쿠오카 여행 인기대한항공은 2024년 연말 회고록에서 국제선 이용 데이터를 공개했으며, 직원들은 후쿠오카를 가장 많이 방문했고, 일반 승객에서는 도쿄가 가장 인기 있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상장사 CEO 대규모 물갈이, 작년 넘어 역대 최대치미 상장사 CEO 대규모 물갈이, 작년 넘어 역대 최대치올해 11월까지 미국 상장사 최고 경영자(CEO) 중 327명이 퇴직해 작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인텔, 보잉, 나이키, 스타벅스 등 오랜 기간 특정 업종에서 독주하다시피 했던 기업들의 CEO 교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후위기 마지노선 ‘1.5도’ 뚫렸다…작년 지구 기온 역대 최고기후위기 마지노선 ‘1.5도’ 뚫렸다…작년 지구 기온 역대 최고‘기후 재앙을 막는 마지노선'이라 불리는 ‘1.5도 선'이 지난해 처음으로 뚫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 10일(현지시각) 지난해 지구 평균 기온이 15.1도로, 산업화 이전인 1850~1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전세계 원전 40% 가동 40년 넘어...역대 최다”“올해 전세계 원전 40% 가동 40년 넘어...역대 최다”日 요미우리신문 집계 “미국은 68%, 일본은 2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랜덤 채팅앱,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 역대 최다랜덤 채팅앱,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 역대 최다랜덤 채팅앱에서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 건수가 지난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2022년 1만7377건이었으며, 2019년 대비 5배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즐톡, 심팅, 영톡 등이 많은 시정 요구를 받았다. 글로벌 SNS에서도 성매매 관련 시정 요구가 증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빚내 빚갚기’도 어렵다…개인 채무조정·회생 신청 ‘역대 최다’ 눈앞‘빚내 빚갚기’도 어렵다…개인 채무조정·회생 신청 ‘역대 최다’ 눈앞빚을 제 때 갚지 못해 채무 조정을 신청한 이들이 올해 역대 최다를 기록할 전망이다. 법인 파산 건수는 이미 작년 전체 규모를 넘었다. 누적된 고물가·고금리 속에 경기 부진과 소득 감소가 지속되면서 한계 상황에 내몰리는 개인과 법인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0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