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하고 유쾌한 부부의 일상을 짧은 영상으로 담아 공유하는 채널 ‘인생 녹음 중’은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결혼 30년 차 부모에게도 영감을 주며, 부부로서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짧은 영상입니다.
아들이 저녁을 먹으며 무언가를 재미있게 보고 있어 무얼 그리 재미있게 보느냐고 물었다. '응, 부부가 일상을 녹음한 거.' 아들이 자신이 보던 영상을 보여주는데 화면에 부부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소리만 들린다. '결혼 7년 차 남편의 반응 속도'라는 제목의 영상은 앞에 가는 차가 느린지 앞 차를 보며'뭘 하는 걸까?'라는 아내의 질문으로 시작한다. 그러다 갑자기 아내가 노래를 부르고 그에 맞춰 남편도 추임새를 넣으며 영상이 마무리 된다. 두 사람의 호흡이 어찌나 찰떡같은지 하마터면 보는 나도 따라 부를 뻔했다. 몇몇 영상을 더 보고 내가 말했다. '남자는 엄청 다정하고 여자는 엄청 유쾌하네.' 아들이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사람들이 이거 보고 결혼 장려 영상이라 그래.' 그럴 만하다 싶었다. 부부의 대화가 꾸밈없고 익살스러운 데다 다정하고 유쾌해서 누군들 결혼하고 싶지 않을까 싶었다. 단순한 선으로만 그린 두 부부의 캐릭터도 듣는 맛을 배가시켰다.
실제 부부의 모습이 영상에 비쳤다면 소리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았다. 대화와 상황에 적절하게 녹아든 그림은 남편의 솜씨였다. 남편은 디자인을, 아내는 경영학을 전공했다는데 공통점은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영상에서 음악 이야기와 노래가 빠지지 않았다. 아내는 심지어 불편한 얘기도 노래로 했다. 7년 차 부부에게 음악은 윤활유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들의 영상은 1년도 채 되지 않았다는데 벌써 구독자가 125만 명에 달했다. 영상이 급성장하다 보니 방송에도 소개되었다. 방송이 주목한 것은 결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였다. 댓글에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가 많았기 때문이다. 아닌 게 아니라 댓글을 살피다 보니'결혼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어떤 사람과 하느냐가 중요한 거'라거나'두 분을 보면 없던 결혼에 감정이 생'긴다거나'사람들은 결혼을 싫어하는 게 아니라 불행한 결혼을 할까 봐 불안해서' 안 한다는 류의 댓글에 많은 공감이 달렸다. 결혼 30년 차인 내게도 영향을 미친 이 영상 그런데 나는 다른 댓글에 눈길이 갔다. '오징어땅콩 먹을 때 이거 해본 사람' 영상에 달린 댓글이었다. '저는 사실 이 짧은 영상보고 울었어요....ㅠㅠㅠ 너무너무 재밌고 저까지 행복해졌는데, 갑자기 한 번도 사이가 좋았던 적 없는 저희 부모님 생각이 나서요. 존중과 애정이 전혀 없고 항상 비난과 무시만 가득했던 두 분의 삶에서 아주 잠깐이라도 이렇게 오징어땅콩 하나로도 긴 대화와 웃음이 이어지는 순간이 있었을까 생각하다 눈물이 펑 터지더라고요. (갱년기 증상인 건지...ㅎㅎ) ....' 댓글을 접하고 문득 우리 부부는 아이들에게 어떤 부부로 비칠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막내가 '진지충'을 언급한 적이 있으니 우리 부부는 '유쾌'와는 거리가 먼 진지하기만 한 부부로 비쳤을 테지 싶었다. 그 생각을 하자 아이들에게 미안해졌다. 부모가 된 이후 나는 '부부'보다는 '부모'에 집중하며 살았다. 억압적이지 않고 헌신적이며 본받을 만한 '부모'이고자 노력했다. 그런데 이들의 영상을 보다 보니 아이들에게 보이고자 노력해야 했던 것은 그런 '부모' 모습이 아니라 다정하고 유쾌한 '부부' 모습이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부가 서로에게 다정하고 유쾌하다면 '부모'라는 자리에도 자연스럽게 '다정'과 '유쾌'가 스며들었을 테니 말이다. '인생 녹음 중'을 보고 나만 그런 생각을 한 건 아닌 모양이었다. '인생 첫 인터뷰에 고장 난 남편'에는 다음과 같은 댓글이 달렸다. '결혼한 지 20년된 무뚝한 경상도 남편이 이 채널구독 후 바뀌었어요. 반성하고 있다며 노력하네요. 아이들도 아빠가 바뀐 거 같다고^^. 감사하게 생각해요.' 일명 '결혼 장려 영상'으로 불린다는 '인생 녹음 중'. 이들의 영상은 미혼뿐만 아니라 결혼 30년 차인 내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부모' 자리보다 '부부' 자리를 돌아보게 했으니 말이다. 이제부터 다정하고 유쾌한 '부부'가 되기로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배우자는 죄없다…'소득요건따른 부부동반 피부양자 탈락없애야'(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건강보험 가입자가 기혼자인 경우 남편이든 아내든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소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부부 모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부 중 한명이라도 소득요건 충족 안하면 피부양자 동반탈락?…“형평성 어긋나”부부 중 한 명이라도 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부부 모두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상실되는 제도가 재산 기준과 비교해 형평성에 맞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명 참변 춘천 '의암호 참사' 법정 공방 마무리…내년 1월 선고[영상] '의암호 사고는 의로운 행동'…사고 순간 미공개 영상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음주운전보다 무서운 졸음운전, 걱정마세요…LG전자가 만든 똑똑한 車LG전자가 첨단 기술이 집약된 운전 공간인 ‘디지털 콕핏 감마’를 최근 공개했다. 모빌리티 혁신 기술을 한데 모아 운전자 경험을 한층 진화시킨 게 특징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전자가 이번에 선보인 디지털 콕핏 감마는 작년에 공개된 알파, 베타에 이어 세 번째로 선보이는 선행 기술 콘셉트다. ▲비전 디스플레이 ▲인텔리전트 HMI(Human Mach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혼인 부부 10쌍 중 1쌍은 다문화…1년 전보다 17.2% 증가지난해 결혼한 부부 10쌍 중 1쌍은 다문화 혼인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아기의 비중은 5.3%로 상승했다. 통계청이 7일 공개한 ‘2023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2만431건으로 1년 전보다 17.2%(3003건) 늘었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6%로 1.5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부부에게도 똑같은 '법의 잣대'를[이충재의 인사이트] 이재명은 허위사실 공표 기소, 윤석열은 불기소한 검찰...윤 대통령 부부 '공천 개입' 의혹은 뭉개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