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생각은 과연 자유로운가? 양자역학?

과학 뉴스

인간의 생각은 과연 자유로운가? 양자역학?
인간생각자유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77 sec. here
  • 1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69%
  • Publisher: 53%

인공지능 발전 속도에 따라 인간의 생각 자유 여부가 주목받고 있으며,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는 인간의 직관은 양자역학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은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박권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 우리의 생각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기계적 결정론 에 따르면, 우리의 생각을 포함해 우주의 모든 것은 우주가 만들어질 때 주어지는 초기 조건에 의해 완벽하게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의 생각은 자유롭지 않으며 단지 원인에 따른 결과일 뿐이다. 이와 관련해 17세기 네덜란드의 위대한 철학자 바뤼흐 스피노자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이 자신을 자유롭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수다. 이러한 실수는 인간이 자신의 행동은 의식하지만 그것을 야기한 원인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에 생긴다.” 그럼 인간의 생각은 환상에 불과한가. 인공지능 , 알고리즘으로 작동 인간은 직관으로 과학 발전시켜 두뇌 양자역학 적으로 작동 가능 양자컴이 인간 같은 AI 구현해 올 6월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퀀텀 코리아 2024에 참가한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관계자가 양자컴퓨터 모형을 설명하고 있다.

이 문제는 오랫동안 철학적으로 심오하지만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는 그다지 관련 없는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지금, 이 문제는 우리에게 실질적인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만약 인간의 생각이 단지 원인에 따른 결과에 불과하다면 인공지능이 인간을 따라잡지 못할 이유가 전혀 없다. 다시 말해, 기계학습을 통해 알고리즘을 충분히 고도화한다면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생각에 정면으로 반대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2020년 블랙홀에 대한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다. 튜링 기계에 기반한 컴퓨터 펜로즈에 따르면, 인공지능은 결코 인간처럼 생각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인공지능이 결정론적 알고리즘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이다. 펜로즈의 주장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수학적 절차다. 일상적으로 알고리즘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된다. 그런데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모든 컴퓨터는 영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앨런 튜링이 고안한 가상의 기계, 즉 튜링 기계에 기반하고 있다. 튜링 기계는 원칙적으로 모든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알고리즘만 제대로 구성된다면 튜링 기계는 어떤 주어진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결정하는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링 기계는 어떤 주장의 사실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렇다면 튜링 기계는 임의의 주장에 관한 사실관계의 판단을 항상 유한한 시간 내에 끝마칠 수 있는가. 참고로, 이 질문은 ‘정지 문제’(halting problem)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튜링이 발견한 정지 문제의 답은 부정적이다. 튜링이 증명한 바에 따르면, 아무리 알고리즘을 발전시켜도 튜링 기계로는 유한한 시간 내에 사실관계를 판단할 수 없는 주장이 반드시 존재한다. 튜링 기계는 그런 주장을 만나면 프로그램을 정지하지 못하고 무한 루프에 갇히게 된다. 하지만 인간은 그러한 상황에서도 직관에 따라 전진할 수 있다. 물론 직관이 항상 맞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그래도 인간은 직관을 통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기는 했지만 꾸준히 과학을 발전시켜 왔다. 그럼 직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펜로즈는 그의 저서 『황제의 새 마음』(The Emperor’s New Mind)에서 인간의 직관은 결정론적 알고리즘을 넘어설 수 있는 다른 무엇, 즉 양자역학에서 온다고 주장한다. 양자역학은 비결정론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자역학의 세계에서 모든 물질은 파동처럼 출렁인다. 물질의 파동은 파동 함수에 의해 기술된다. 그런데 파동 함수는 측정하면 붕괴한다. 파동 함수의 붕괴는 철저히 비결정론적이다. 펜로즈는 인간의 두뇌가 비결정론적으로 작동하는 일종의 양자컴퓨터라고 주장한다. 불행히도, 많은 과학자는 펜로즈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양자역학의 효과는 보통 원자와 같이 크기가 아주 작은 미시세계나 초전도체와 같이 온도가 극도로 낮은 저온상태에서 발현되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의 두뇌는 크고 따뜻하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인간 생각 자유 인공지능 양자역학 직관 펜로즈 튜링 기계 결정론 비결정론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신작 '영원한 천국', 정유정의 SF 도전신작 '영원한 천국', 정유정의 SF 도전장편 소설 작가 정유정이 SF 장르로 도전하여, 인간의 뇌를 가상 공간에 업로드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인간의 욕망과 영생을 그린 신작 소설 '영원한 천국'을 발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녹색세상]못생긴 사과가 필요하다[녹색세상]못생긴 사과가 필요하다환경을 위한 실천을 하면서 가장 바꾸기 어려웠던 생각은 ‘벌레 먹은 사과가 맛있다’는 사실이었다. 크기가 똑같고 상처 하나 없이 반질반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엘리자베스, 젊음의 덫에 걸린 미 욕망엘리자베스, 젊음의 덫에 걸린 미 욕망아름다움과 젊음에 대한 사회적 압박 속에서 엘리자베스는 서브스턴스라는 블랙 기업의 약물을 통해 20대 신체를 얻지만, 그 과정에서 겪는 슬픈 현실과 짚어보는 인간의 욕망과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상 시상] 계엄사태와 중첩됐던 노벨위크…'어떤 한주?' 뜨거운 관심[노벨상 시상] 계엄사태와 중첩됐던 노벨위크…'어떤 한주?' 뜨거운 관심(스톡홀름=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인간의 잔혹성과 존엄함이 극한의 형태로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 이상 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빈센트 반 고흐: 정직한 사람, 위대한 예술가빈센트 반 고흐: 정직한 사람, 위대한 예술가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들과 그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의 정직성과 예술적 성취를 조명합니다. 그의 작품에서 인간의 고뇌와 고통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 한강 작가의 문학적 성취를 강조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 한강 작가의 문학적 성취를 강조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 안데르스 올손은 한강 작가의 작품을 인간의 고통과 윤리적 차원을 강하게 다루고 있다고 평가하며, 작가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전개를 인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15: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