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200일에도 추모 공간은 '아직'...'기피시설 인식 바꿔야'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이태원 참사 200일에도 추모 공간은 '아직'...'기피시설 인식 바꿔야'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TN24
  • ⏱ Reading Time:
  • 1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1%
  • Publisher: 63%

[앵커]오늘(16일)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200일째 되는 날이지만, 참사를 기억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할 공식 추모 공간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습니다.참사 현장은 사실상 방치돼 있고, 서울시청의 임시 분향소는 언제 철거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공식 추모 공간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강민경 기자...

참사 현장은 사실상 방치돼 있고, 서울시청의 임시 분향소는 언제 철거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공식 추모 공간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참사가 발생한 지 200일이 흐른 지금도 희생자의 영면을 기원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찾고 있습니다.그러나 어디까지나 유가족이 자발적으로 마련한 임시 공간일 뿐입니다.서울시는 합동분향소를 '불법 시설물'로 규정하고 유가족에게 자진 철거할 것을 재차 요구하고 있습니다.시민이 오가는 야외에 추모 공간을 설치해야 사회적 관심을 환기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조경선 / 유가족·고 조경철 씨 동생 : 시민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공간이어야 시민분들이 조금 더 우리의 진실을 알 수 있게 되고 저희 참사에 대해서 조금 더 명확하게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 같거든요.]언제 그런 참사가 일어났느냐는 듯 시든 꽃만 무심히 이곳을 지킵니다.전문가들은 참사가 반복되는 걸 막자는 사회적 의지를 보여주고, 유가족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서라도 제대로 된 추모 공간이 꼭 있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추모 공간이라고 하면 인적이 드문 공간에 위령탑만 덩그러니 세우는 기존 방식도, 기피 시설이라는 인상만 줄 수 있어 바꿔야 한다는 지적입니다.[메일] social@ytn.co.kr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TN24 /  🏆 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0월에 머문 사람들, 이태원 참사 희생자 박현진씨 [이태원 참사 200일]10월에 머문 사람들, 이태원 참사 희생자 박현진씨 [이태원 참사 200일]5월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두 건물 사이 좁은 길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서로 스쳐 지나간다. 변한 것은 붉은색 가벽에 붙은 추모 메시지뿐. 200일 남짓 붙어 있던 종이 쪽지들은 빛이 바랬다. 5월16일은 이태원 참사 200일이 되는 날이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가족 6명을 만났다. 그들이 쓰던 방과 물건을 통해 떠난 이들의 세상을 살펴봤다. 서른 한 살 박현진씨와 정주희씨, 대학생 박가영씨와 최민석씨, 열여섯 살 이재현 군, 스물여덟 청년 조경철씨. 이들의 시간은 여전히 지난해 10월에 머물러 있다. (※희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구청장, 이태원 인파 보고에도 정부 비판 전단지 제거 지시' | 연합뉴스'구청장, 이태원 인파 보고에도 정부 비판 전단지 제거 지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박희영(62) 서울 용산구청장이 이태원 참사 당일 밤 당직 근무자들에게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의 전단지를 떼라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200일, 주인 잃은 유품과 남겨진 방 [편집국장의 편지]이태원 참사 200일, 주인 잃은 유품과 남겨진 방 [편집국장의 편지]2022년 10월29일 토요일 밤. 서울 이태원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뉴스를 보던 그때를 기억한다. 이태원, 핼러윈, 심정지…. 난데없는 그런 단어들을 포털에서 보고 바로 방송사 생중계 채널에 접속했다. 무슨 일인지 파악하는 데도 꽤 시간이 걸렸다. 그날 밤에 받았던 충격은 생생한데, 희생자들 가족의 지금 모습을 자세히 알지 못한다. 이렇게 시간이 지나가도 되는 것일까. 5월16일이면 참사 이후 200일이다.이재현 군(16)의 어머니 송해진씨는 아들과 예전에 함께 살던 아파트로 이사를 했다. 그곳이라면 아들이 찾아올 수 있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故 조은결 군 마지막 등굣길...하얀 추모 물결 가득故 조은결 군 마지막 등굣길...하얀 추모 물결 가득[앵커]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우회전 신호를 위반한 버스에 치여 숨진 고 조은결 군의 장례식이 오늘 열렸습니다.은결이를 가슴에 묻은 아버지의 절규와 같은 스쿨존 안전장치 마련 청원 글에는 시민들의 동의가 이어졌습니다.황보혜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기자]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우회전 차량에 치여 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지의 단층'서 잇단 지진…'규모 6 넘는 지진 발생할 수도''미지의 단층'서 잇단 지진…'규모 6 넘는 지진 발생할 수도'이렇게 최근 동해의 잦은 지진이 특히 불안한 이유는 아직 형태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미지의 단층'이라는 것 때문인데요.앞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7 03:2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