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이후 일주일 간 신문의 사설을 보면 조선일보가 유독 튄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언론이 경찰과 함께 정부의 책임도 함께 거론하는 반면 조선일보는 ‘경찰’에만 집중적으로 책임을 묻고 ‘재난의 정치화’를 경계하고 ‘시민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설을 집중적으로 내고 있다. 정부의 책임과 거리를 두는 프레임인데 이는 정부 책임을 집중적으로 거론한 동아일보와도 대조적이다.조선일보, ‘경찰’과 ‘정부’ 구분하고 ‘재난 정치이용’ 경계이태원 참사 당시 경찰의 부실한 대응과 보고 체계 문제가 드러났다. 당초 현장에서 ‘압사할 것 같다
이태원 참사 이후 일주일 간 신문의 사설을 보면 조선일보가 유독 튄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언론이 경찰과 함께 정부의 책임도 함께 거론하는 반면 조선일보는 ‘경찰’에만 집중적으로 책임을 묻고 ‘재난의 정치 이용’을 경계하고 ‘시민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설을 집중적으로 내고 있다.이태원 참사 당시 부실한 대응과 보고 체계 문제가 드러났다. 현장에서 ‘압사할 것 같다’는 수차례 신고를 받고도 경찰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문제에 이어 윤희근 경찰청장이 사고를 모른채 캠핑장 숙소에서 잠들었다 뒤늦게 보고를 확인한 사실까지 드러났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구축한 지자체·경찰·소방 당국 간 재난안전통신망이 이번 참사에서 작동되지 않은 사실을 실토하기도 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책임 회피성 발언도 논란이 됐다. 경찰의 문제가 핵심적인 건 사실이지만 정부의 대응 역시 짚을 대목이 있다.
앞서 조선일보는 지난 2일 사설을 통해 “경찰만이 아니라 정부와 서울시 차원에서도 엄정하게 조사해 사회 전반의 안전 시스템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정부와 서울시를 ‘진상조사의 주체’로 놓았다. 조선일보의 지난 일주일간 사설은 ‘정부 책임론’을 비켜나간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정부와 경찰을 구분해 경찰의 대응을 질타하고, 정부 책임론이 불거지는 상황에선 ‘재난의 정치 이용’을 경계하고, 시스템 못지 않게 시민 스스로의 역할도 부각하는 식이다.특히 경찰청장의 뒤늦은 상황파악 문제가 드러난 다음날인 5일 동아일보는 ‘그날 참사 막을 책임자들도, 시스템도 다 잠들어 있었다’사설을 통해 ‘경찰’뿐 아니라 ‘정부’의 문제도 비중 있게 다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앞서 지난 3일 동아일보는 ‘이태원 참사 부실대응 명백한데, 아직도 ‘제도 타령’인가’ 사설을 통해선 더욱 강하게 정부 책임을 물었다. 동아일보는 행사 이전에 우려가 나왔다는 사실을 전하며 “대형 사고의 위험을 파악하고 있으면서도 정부와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었다는 얘기다. 세상에 어떤 정부가 자국민이 압사 위험에 처하는 것을 뻔히 보면서 법과 제도를 이유로 팔짱을 끼고 있다는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당일 용산경찰서장이 50분 늦게 도착한 이유는'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 총괄 책임자였던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이 이태원 일대 차량 정체가 심각한 상황에서 차량 이동을 고집하다 참사 현장에 늦게 도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직후 보수-진보 성향 신문 보도 달랐다이태원 참사 직후 사흘 간 언론이 포털에 송고한 기사 가운데는 ‘추모행렬’을 다룬 기사가 가장 많았다. 보수언론에서 ‘사고현장 묘사’ 기사를 더 많이 쓴 반면 진보언론은 ‘사전대책 소홀’ 문제에 더 주목했다.지식콘텐츠 스타트업 언더스코어와 미디어오늘은 포털에 송고한 기사 수가 많은 언론 40곳의 기사 1만908건을 수집해 분석했다. 경찰의 늑장 대응이 밝혀진 이후에는 보도 양상이 비교적 일관되기에 그 이전 사흘치(10월29~10월31일) 보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언론의 주제별 보도 비율은 ‘합동분향소 추모행렬’ 기사가 전체의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수처, ‘이태원 참사’ 이상민·오세훈 고발건 수사3부 배당공수처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이상민 행안부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윤희근 경찰청장 등을 직무유기 혐의로 수사부서에 배당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