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바닥을 쳤으니까 대출을 받자’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있고 여기에 50년 만기 대출 등을 통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회피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걱정스러운 것은 지난 10여년간 금리가 굉장히 낮았는데, 지금 젊은 세대는 인플레이션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낮은 금리로 갈 거라는 예상을 해서 집을 샀다면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 금리가 지난 10년처럼 연 1~2% 정도로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올해 성장률 전망(1.4%)은 유지하고 내년 성장률 전망(2.3→2.2%)은 낮춘 이유는. '중국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 파산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기는 했지만,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이 이전과 크게 낮아진 상황은 아니어서 (올해 성장률 전망은) 더 지켜봐야 한다. 내년 성장률 전망을 낮춘 것은 중국 부동산 시장 상황을 볼 때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은 어려울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집값이 바닥을 쳤으니까 대출을 받자’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있고 여기에 50년 만기 대출 등을 통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회피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걱정스러운 것은 지난 10여년간 금리가 굉장히 낮았는데, 지금 젊은 세대는 인플레이션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낮은 금리로 갈 거라는 예상을 해서 집을 샀다면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 금리가 지난 10년처럼 연 1~2% 정도로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가계부채 증가세 억제를 위한 방안은.“미시적 정책을 통해 가계부채 흐름을 조정해보고, 시장 반응이 부족하면 거시적 정책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한다.” 현재 한국 기준금리 수준을 긴축적이라고 판단하나.“그렇다.
명목 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실질금리를 기간별로 보면, 미국을 제외한 다른 어떤 선진국보다 한국의 실질금리가 높다. 여러 가격 변수를 고려한 금융 상황을 보면 전반적으로 한국 금리 수준은 긴축 범위에 있다.” 현재 환율 수준은 우려해야 하는 상황인가.“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최근 환율이 오른 것은 달러 강세, 위안·엔화 약세 등에 동조한 것이었다. 다만 일일 변동성은 커졌다. 환율 수준보다는 변동성에 더 집중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성장률 전망은 유지하고 내년 성장률 전망은 낮춘 이유는.“중국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 파산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기는 했지만,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이 이전과 크게 낮아진 상황은 아니어서 더 지켜봐야 한다. 내년 성장률 전망을 낮춘 것은 중국 부동산 시장 상황을 볼 때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은 어려울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하남현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저금리 돌아갈 가능성 작다'…빚투족에 경고장 날린 이창용그러면서 ‘빚투(빚내서 투자)족’ 에 대해 '저금리로 돌아갈 가능성은 작다'며 경고장을 날렸다. 올해 성장률 전망(1.4%)은 유지하고 내년 성장률 전망(2.3→2.2%)은 낮춘 이유는. 중국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 파산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기는 했지만,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이 이전과 크게 낮아진 상황은 아니어서 (올해 성장률 전망은) 더 지켜봐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 인하 시기상조...3.75% 가능성 열어둬”기준금리 연 3.50%로 동결 中경제, 빠른 회복은 어려워 내년 韓성장률 2.2%로 낮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준금리 인상 가능에도’ 여전한 연내 동결론금리 인상 가능성 줄었단 평가에 시장금리 급락 금융 안정 위해 하반기 관리모드 나설듯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금리 하락 예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동산-가계빚 경고, 한은총재 '불황엔 부동산 띄우기 유혹'한은 금통위 금리 3.5% 동결, 인상 가능성도 여전...내년 성장률 2.2%로 1%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복합 경제충격에 1%대 성장 전망...5연속 금리 묶은 한은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통위 후 기자간담회에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오히려 금리 인상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금리 인하에 대해 얘기하긴 시기상조'라고 일축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도 '한ㆍ미 금리 역전차 등을 고려하면 미국보다 먼저 금리 인하를 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Fed가 내년쯤 금리 인하를 시작하면 한국은 그보다 느리게 내년 중반 정도에 인하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올해 전망치를 유지한 것은 국내 펜트업 소비(코로나19로 지연된 소비 재개) 약화, 중국경제의 더딘 회복세, Fed의 추가 긴축 우려 등 하방 요인과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입, 미국 경제 연착륙 가능성 증대 등 상방요인을 함께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