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민간위탁기관인 대전시인권센터를 오는 12월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차별금지법 제정과 동성애 등을 반대해온 단체에...
대전인권비상행동이 26일 대전시청 앞에서 대전시의 대전시인권센터 폐쇄 결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최예린 기자 대전시가 민간위탁기관인 대전시인권센터를 오는 12월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차별금지법 제정과 동성애 등을 반대해온 단체에 위탁을 맡긴 지 9개월 만에 폐쇄 결정을 내린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대전시인권센터가 5년 동안 쌓아온 대전시의 인권 증진 기반이 허물어졌다”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26일 한겨레 취재 결과, 대전시는 9월 초 대전시인권센터의 운영을 올해 12월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대전시인권센터는 ‘대전시 인권보장 및 증진 조례’에 따라 설치된 인권 교육·홍보 전문기관이다. 현재 대전시인권센터에는 센터장을 제외한 3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이성규 대전시 행정자치국장은 “국가인권위원회 대전인권사무소와 업무가 겹쳐 예산 투입 대비 효율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고 폐쇄 결정 이유를 밝혔다.
대전시는 지난해 11월 대전시인권센터의 새 수탁기관으로 사단법인 한국정직운동본부를 선정했다. 개소한 2017년부터 2022년까지는 대전와이엠시에이유지재단이 인권센터를 맡아왔다. 문제는 한국정직운동본부가 공공연히 동성애와 차별금지법 제정을 반대해온 단체란 점이었다. 이 단체가 대전시인권센터장으로 내세운 김영길 바른군인권센터 대표 역시 동성애와 차별금지법 제정에 노골적으로 반대해온 인물이었다. 이 때문에 이런 단체에 인권센터를 맡긴 것부터 1년 뒤 아예 센터를 없애려는 포석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었다. 대전인권비상행동은 이날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시인권센터의 직원들은 센터 폐쇄로 실업자가 된다. 대전시는 수탁 기관과의 문제이며 자신들은 책임이 없다고 변명하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시기를 대전시 인권증진 업무에 매진해 온 사람들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도 없는 후안무치한 발뺌”이라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SKT “AI 투자 비중 5년간 3배로…통신 네트워크 넘어설 것”인공지능 사업 전략 발표한국어 기반 비서 서비스 ‘A.’ 정식 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폐지 줍는 노인 정직원 채용한 기업…‘종이가죽’ 가방 생산[한겨레21] 포토스퀘어 폐지 수거 노인에게 정당한 대가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폐지 줍는 어르신 11명 정직원 채용…‘종이 가죽’의 탄생[한겨레21] 포토스퀘어 폐지 수거 노인에게 정당한 대가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폐지 줍는 노인 정직원 채용한 기업…‘종이가죽’ 가방의 탄생[한겨레21] 포토스퀘어 폐지 수거 노인에게 정당한 대가 사회적기업 ‘러블리페이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국, 현재 40% 상속세 단계적 폐지 계획'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상속세의 단계적 폐지 방안을 발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양성평등담당관 예산 ‘싹둑’…윤 정부, 성평등 정책 후퇴노동부 ‘고용평등 상담지원’ 예산 54.7% 삭감 등일부 부처 양성평등정책담당관 폐지 가능성까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