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순국공원 가거든 이것도 꼭 보세요 관음포 오문수 기자
이순신순국공원은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적의 총탄에 맞아 순국한 성지이자 역사의 현장을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공원은 순국 영웅들의 얼이 담긴 호국 광장과 테마별 체험이 가능한 관음포 광장, 노량해전에 대한 3D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는 이순신 영상관과 전통 한옥으로 우리의 멋을 재현한 리더십 체험관 등의 공간이 조성되어 있다.이순신 영상관 왼쪽 숲속에는 조선 순조 32년에 이순신 장군의 8세손 이항권이 왕명에 따라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공적을 기록한 유허비가 있다. 해방 후 1950년 남해 군민 7000여명이 헌금하여 정원과 참배로를 조성하고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이락사'와 '대성운해'라는 헌액을 내렸다.
'이락사' 오른쪽으로 난 산책로를 따라 500m 쯤 올라가니 이순신 장군이 순국한 관음포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첨망대가 나왔다. 첨망대 아래에는 관광객 한 무리가 점심 먹고 있어 눈살이 찌뿌려졌다.첨망대를 내려와 임진·정유 두 왜란의 마지막 전투 현장을 음미해보고 싶어 노량대교와 남해대교가 있는 곳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바닷가에는 '이순신 호국길'이 잘 조성되어 있었다. 조명연합군과 왜수군 3만명이 함성을 지르며 최후의 일전을 벌였던 현장에는 왜가리들이 호시탐탐 먹잇감을 노리고 있었다. 남해대교 인근 식당에서 점심을 먹은 후 버스를 타고 이순신순국공원으로 돌아와 인근에 있는 테마별 체험이 가능한 관음포 광장을 돌아보았지만 관광객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관광객들의 시선이 오직 이순신 장군에게만 쏠렸기 때문이다.관음포는 고려시대 팔만대장경 판각 현장이자 정지장군이 왜구를 대파한 관음포대첩의 현장이다. 또한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목숨을 바쳐 나라를 구한 구국의 현장이기도 하다. 남해 고현면에 화방사를 중창하기도 한 진각국사는 지리산 일대에 있는 목재를 뗏목을 이용해 섬진강 줄기를 따라 관음포까지 운반했다. 필자가 다음 지도를 이용해 섬진강 종점 태인도에서 관음포까지의 거리를 실측해보니 10㎞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대장경 판각의 16년 동안 남해에는 승려, 학자, 벌목, 염장, 제재, 서각, 제지, 서예, 직조, 염색, 옻칠, 금속공예 등의 수많은 전문가들이 파견되었고 이들을 뒷바라지해야 하는 민초들은 수많은 고통을 감내해야만 했다.
운명의 순간이 왔다. 1598년, 11월 19일 첨병으로부터 사천과 부산 남해 등지에서 소서행장을 구출하기 위해 집결한 왜수군 500척이 접근해 오고 있다는 소식이 왔다. 두 장수는 병목지점인 노량을 전장으로 선택했다. 조·명 연합군이 주둔한 묘도에서 노량까지는 11㎞떨어져 있다. 조·명연합군은 백전노장 이순신이 지휘하는 조선수군 80척, 진린이 지휘하는 명나라 수군 300척, 도합 수군 2만 1000명이 참전했다. 3만 명의 수군이 모여 최후의 결전을 벌인 곳이 노량해전이다. '기로'의 사전적 의미는 길 방향이 서로 다르거나 나누어 지는 지점을 일컫는다. 한반도가 기로에 처했을 때마다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관음포의 의미를 되새겨 보며 집으로 돌아왔다. 덧붙이는 글 | 여수넷통뉴스에도 송고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0살 넘은 왕버들까지 무참히 잘려... 이게 정말 맞습니까?50살 넘은 왕버들까지 무참히 잘려... 이게 정말 맞습니까? 내성천 홍석환_교수 김종원_교수 왕버들_군락 예천군 정수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모님이 거리를 배회한 적 있다면 꼭 보세요부모님이 거리를 배회한 적 있다면 꼭 보세요 치매검진 컬러링북 지남력 치매안심센터 인지저하 이혁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다와 육지에서 돌아가신 영령 위로하는 송광사수륙대재바다와 육지에서 돌아가신 영령 위로하는 송광사수륙대재 송광사수륙대재 오문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마이포토2023] '159개 우주가 사라졌는데'... 서로 껴안고 우는 유가족[오마이포토] '159개 우주가 사라졌는데'... 서로 껴안고 우는 유가족 행진 시작 전 참사가 발생한 골목길에서 한 유족이 '아이들을 모두 살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어요'라 외치는 가운데, 다른 유가족과 부둥켜 안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 ✔ 자세한 기사 보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