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은 대중문화의 한류와 함께 문화 소비의 주요 관심거리로 떠올랐습니다. 이건희컬렉션 아트페어 🔽 자세히 읽어보기
6월6일 오후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전시 마지막날. 전시장이 몰려온 관객들로 북적이는 광경이다. 노형석 기자 2022년은 한국 미술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을 이룩한 해다. 올해 미술은 한국의 국민 혹은 대중에게서 특별한 의미를 획득했다. 지난해 삼성그룹 총수였던 이건희 회장의 미술품 컬렉션이 국가에 기증된 뒤 본격적인 공개 전시회가 펼쳐지면서 국민들은 나라의 문화를 격상시키는 명품 컬렉션의 힘과 작품의 매력을 알게 됐다. 이는 미술관과 미술시장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으로 이어졌고, ‘미술’ 간판이 붙은 전시판, 경매판, 장터판을 펼치면 어김없이 사람들이 몰렸다. 일제강점기 한국에 근대미술이 도입된 이래 이 땅에 미술문화 전성시대가 열린 것이다. 미술은 대중문화의 한류와 함께 문화 소비의 주요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미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새롭게 환기시킨 건 프랑스 베르사유궁을 모델로 삼은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의 청와대 미술관 구상이었다.
특히 9월 열린 세계적인 미술품 장터 프리즈와 한국화랑협회가 주최하는 한국 최대 장터 키아프의 공동 판매 전람회가 열리면서 미술에 대한 투자 열기는 정점에 달했다. 하지만 뒤이어 고환율, 고금리 등의 국제 경기 상황 악화로 국내 시장 경매와 아트페어 구매액이 급감하면서 미술품 경기 자체는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미술 경제가 열탕과 온탕, 냉탕 모두 나타나는 양상으로 이어졌지만, 올해 미술품 전체 거래 규모는 백화점 미술 매장의 매출, 외국계 화랑들의 거래액까지 포함하면 역대 처음 1조원을 훌쩍 넘은 것으로 추산돼 시장 자체적으로 의미심장한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선의 승려 장인’전이나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박수근 회고전, 큰 호평을 받은 부산비엔날레·제주비엔날레의 성취 등 도드라지게 약진한 전시기획 역량, 조각 장르와 퀴어아트 등에서 새롭게 분출한 청년 작가들의 문제적 작업 등 전시와 작품의 질적인 측면에서 진화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국방장관에 '그동안 뭘했냐'…북한 무인기 격추 실패에 격노 | 중앙일보'과거에 비슷한 일이 여러 번 있었는데, 어떻게 북한 무인기 공격에 대비하는 데가 없을 수 있나'\r윤석열 국방장관 북한 무인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NSC 상황 아니었다'‥야 '심각성 몰라'북한의 무인기 도발 상황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열리지 않은 걸 두고 대통령실은 'NSC를 열 상황도 아니었고, 열 필요도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야당은 대통령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무인기 영공침범 때 윤 대통령 '우린 2~3대 올려 보내라'NSC 미개최엔 "열 필요 없었다"... 대통령, "군은 대체 뭐한 거냐" 국방장관 질책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뇌전증 4급 조재성' 이런 병역비리 10명 이상…스포츠계 발칵 | 중앙일보한 번에 6급 병역 면제를 받은 사례도 있고, 여러 경로로 등급을 조작해 4급·5급 판정을 받은 경우도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흡연 훈계' 엄마뻘에 날아차기…그 학생들, 이런 짓도 추가로 걸렸다 | 중앙일보촉법소년은 만 14세까지. 그렇다면 세 학생의 나이는...\r중학생 흡연 폭행 절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