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간호사를 비롯한 의료 종사자들이 속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별노조인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
김병규 기자=간호사를 비롯한 의료 종사자들이 속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별노조인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29일 조속한 진료정상화,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다.28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건의료노조는 노사 협상이 타결되지 않는 한 이날 저녁 각 의료기관별로 총파업 전야제를 개최한 뒤 29일 오전 7시를 기해 파업에 돌입한다.보건의료노조는 간호사를 중심으로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약사, 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의료부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가입한 산별노조로, 조합원이 8만2천명에 육박한다. 의사는 일부만 가입해 있지만 의료계의 다양한 직역이 속해 있다.고려대의료원, 한양대의료원, 중앙대의료원, 강동경희대병원, 조선대병원, 한림대의료원, 이화의료원, 노원을지대병원, 대전을지대병원 등 사립대병원이 19곳이다.
절반인 31곳이 지방의료원이나 국립중앙의료원 등 공공병원이며, 중소병원이 12곳이다. 수도권 대형병원인 '빅5' 병원 가운데서는 서울아산병원과 성모병원이 보건의료노조에 속해있지만, 쟁의 사업장은 아니다.노조는 지난해 19년 만의 총파업을 이틀간 벌인 바 있는데, 이번에 돌입할 계획인 사업장은 작년 140곳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작년보다 파업 의료기관이 적고 빅5 등 대형병원 노조는 파업에 나서지 않지만,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이미 떠난 지 오래된 상황에서 간호사 등 다른 의료 직역의 역할이 커진 점을 고려하면 파업으로 인한 의료 현장의 혼란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노조는 사측과 정부에 ▲ 조속한 진료정상화 ▲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책임 전가 금지 ▲ 불법의료 근절과 업무범위 명확화 ▲ 인력 확충 ▲ 주4일제 시범사업 ▲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환경 마련 ▲ 간접고용 문제 해결 ▲ 기후위기 대응 ▲표준생계비 확보와 생활임금 보장 ▲ 총액 대비 6.
노조는 지난 24일 파업 가결 소식을 알리며"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끼니를 거르고, 폭언·폭행에 시달리며 의사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몇 배로 늘어난 노동강도에 번아웃되면서 버텨왔다"며"의사들의 집단 진료거부가 부른 의료공백으로 인한 경영위기 책임을 더 이상 보건의료 노동자들에게 떠넘기지 말라"고 강조했다. 진료지원 간호사에 대한 법적 근거가 갖춰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겪는 혼란을 해소하라는 것도 노조의 요구 사항이다. 여야가 각각 PA 간호사의 합법화를 위한 간호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지만, 관련 법안이 상임위를 통과하지 못하며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28일 간호법이 국회 논의 과정에서 급물살을 타면 파업을 앞두고 노조의 반발이 누그러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관련 이슈가 노조의 여러 요구사항 중 하나일 뿐인 만큼 법 통과가 파업 여부를 가름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관계 장관회의에서"전공의 공백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의료현장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보건의료노조가 총파업을 결정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보건의료인들의 어려움을 너무나 잘 알고 있고, 더 나은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산업장관 "전기요금 인상한다…폭염 지나면 정상화 노력"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공의 이어 간호사도 떠나나…정부 '필수의료 차질 없게 할 것'(종합)(서울=연합뉴스) 김잔디 오진송 기자=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6개월이 넘은 가운데 간호사 등 보건의료 노동자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가결···“61개 병원서 91% 찬성률”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이달 19∼23일 61개 병원 사업장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한 결과, 91%의 찬성률로 총파업이 가결됐다고 24일 밝혔다. 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공의 없는 병원에 간호사도 떠나나…의료공백 심화 불가피(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6개월이 넘은 가운데 간호사 등 보건의료 노동자마저 파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근무하던 병원서 성폭행·살인 당한 의사…인도서 ‘분노의 촛불’ 물결여성 의사가 근무하던 병원에서 성폭행에 이어 살해까지 당한 사건이 알려지며 인도에서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힌두스탄타임스(HT)에 따르면, 이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명 정신과 의사 병원서 환자 사망...유족 “유기치사죄 고소”여러 방송에 출연해 얼굴을 알린 유명 정신과 의사 형제가 운영하는 병원에서 입원한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유족은 해당 병원 의료진을 형사고소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접수했다. 정신과 의사 소속사 측은 매일경제 스타투데이에 “방송 업무만 담당하다 보니 개인 사업체 운영과 관련해선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 사건은 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이어 중국도 ‘61세 탁구 할머니’ 열풍 [Paris Now]니샤롄(61)은 1963년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1983·1985년 제37·38회 국제탁구연맹(ITTF)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단체전 및 혼합복식 2관왕 ▲여자복식 은메달·동메달로 빛났다. 1989년 독일을 거쳐 1991년 룩셈부르크에 정착했다. 남편은 스웨덴 탁구선수 톰뮈 다니엘손이다. 중국 국적 없이 룩셈부르크 시민권만 있는 것을 두고 아무도 뭐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