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재정 '줄줄'…3년간 사무장병원 등 489곳이 2조 9천억 원 빼가 SBS뉴스
사무장병원과 면허대여약국 등 불법 개설기관의 부당 청구로 국민이 낸 건강보험료나 세금으로 조성한 의료급여재정이 해마다 줄줄 새고 있지만, 당국이 제대로 회수하지 못해 발만 동동거리고 있습니다.
불법 개설기관은 의료기관이나 약국을 개설할 수 없는 사람이 의사나 약사의 명의를 빌리거나 법인의 명의를 빌려 개설ㆍ운영하는 의료기관이나 약국을 말하는데, 개설 자체가 불법이기에 건보공단에 진료비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오늘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재정 건전화 계획의 일환으로 불법 개설 의심 요양기관에 대한 행정조사를 확대하는 등 단속을 강화하고 있습니다.건보공단은 이 기간 이들 불법 개설 의심 기관이 요양 급여비와 의료급여비 명목으로 불법적으로 진료비를 청구해 2조8천984억 원을 빼내 간 것으로 추산합니다.실제로 건보공단의 '불법 개설기관 환수 결정 및 징수현황' 자료를 보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14년간 사무장병원 등이 부당 청구해서 타낸 요양급여액 중 공식 조사와 확인을 거쳐 환수 결정한 금액은 3조3천415억 원에 달했지만, 징수 금액은 2천186억 원에 불과했습니다.하지만 자체 수사권이 없어서 역부족입니다.
그렇다 보니 일선 경찰에 사무장병원에 대한 수사를 의뢰할 수밖에 없는데, 경찰은 보건의료 전문 수사 인력이 부족한 데다 다른 주요 사건에 밀려 수사가 평균 11개월을 넘기면서 장기화하기 일쑤입니다.이를테면 건보공단은 80∼90대 연령의 고령 의료인을 고용해 사무장병원과 사무장약국을 설립, 운영한 A 연합의원과 B 약국을 적발해 2020년 12월 중순 정식으로 경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건보공단은 특히 수사 권한이 없다 보니 사무장병원으로 의심돼 행정조사에 들어가더라도 제대로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에 부딪힙니다.건보공단은 불법 개설기관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체 수사권을 확보하려고 현장경험과 노하우를 쌓은 건보공단 임직원에게 특별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법을 입법화하려고 애쓰지만, 국회 관문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와 별도로 건보공단은 불법 개설기관의 부당이득금에 대한 징수율을 높이고자 올해 6월 28일부터 '은닉재산 포상금제'를 도입해 불법 개설기관이 숨긴 재산을 신고하면 20억 원 이하의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행정조사 단계에서 확인된 불법 개설기관의 재산을 검찰 기소 시점에 즉시 압류, 재산처분 행위를 사전에 막아 환수하고 압수 등의 경험이 많은 수사관 경력직원을 배치해 현장 징수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사해행위는 채무자가 은닉·매매·증여 등의 방법으로 자기 재산을 줄여 채권자의 강제집행을 어렵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나아가 불법 개설기관 체납자의 인적 사항을 공개하고 신용정보원에 체납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회적 압박을 통해 자진 납부하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3,000조 육박' 가계부채 이미 1위 …'반대로' 달리는 한국1,867조 원 + '숨은 빚'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전기·가스요금 5.3% 오른다…내일부터 적용4인 가구 기준, 전기요금은 약 3000원(332kWh 사용 기준), 가스요금은 4400원(3861 MJ) 정도를 더 부담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료 8원·가스료 1.04원 인상...4인 가구 약 7,400원 더 부담취약계층 1년 유예·소상공인 분할납부 등 부담 완화/연내 추가인상 가능성엔 “종합적 검토해 판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보] 전기요금 kWh당 8원·가스요금 MJ당 1.04원 인상…내일부터 적용 | 연합뉴스(세종·서울=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전기요금이 오는 16일부터 kWh당 8원 인상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일제히 5.3% 인상…내일부터 적용(종합) | 연합뉴스(세종·서울=연합뉴스) 차대운 이슬기 기자=전기요금이 오는 16일부터 kWh(킬로와트시)당 8원 인상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