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정부가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확정함으로써 그간 '증원 백지화 및 원점 재검토'를 외치던 의사단체의...
'촛불집회' 등 거론하지만, 투쟁동력 약화 가능성에 고민 커져 성서호 기자=정부가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확정함으로써 그간 '증원 백지화 및 원점 재검토'를 외치던 의사단체의 투쟁에도 제동이 걸렸다.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는 전국 단위 촛불집회를 열고 의대 증원 등 정부 정책의 부당성을 알릴 계획이지만, 당장 집단휴진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의대 정원 확대 최종 결정에 대한 입장 밝히는 최창민 의대교수 비대위원장2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1주일 휴진' 방침을 철회할 뜻을 밝혔다.최창민 전의비 비대위원장은 2025학년도 증원이 확정된 24일 기자회견에서"일주일 휴진한다고 해도 정부가 꿈쩍 안 할 게 뻔하다"며"환자들이 피해를 본 게 명확한 상황에서 우리가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 '촛불집회' 등 거론하지만, 투쟁동력 약화 가능성에 '고민'정부의 주장과는 달리 의대 증원이 국민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알리고, 의사들의 '진심'을 알린다는 계획이다.의협은 촛불집회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한국 의료에 사망 선고를 내렸다고 주장하며, 시민들 앞에서 국민 건강을 위한 의료계의 노력을 다짐한다는 계획이다.국민 눈높이에서 이번 의료공백 사태에서 정부의 실책 등을 설명하겠다는 의도이다.개원의 중심인 의협은 병의원 휴진 등 집단행동을 감행할 가능성이 크지 않고, 집단행동을 한다 해도 참여율 저조로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날 수 있다.◇ 의사들, 대법원 판단에 '희망'…"2026학년도 증원 적법성 따져야"의료계는 앞서 서울고법이 이달 16일 의대 증원 처분 집행정지 신청에 대해 각하·기각 결정을 내리자 곧바로 대법원에 재항고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대 노려볼까?'… 강남학원가 '반수반' 조기 개강의대증원·무전공 확대 영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이탈 전공의 행정처분, 행동변화에 달려있어'"법원 결정으로 의대증원 문제 일단락…각 대학 학칙개정 완료해달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의 창] 세상에서 가장 좋은 의료 시스템韓 전국민 의료보장 시스템해외대비 경쟁력 탁월한데필수의료 접근성은 떨어져지속가능성 확보하기 위해재정과 의대증원 조화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공의 돌아오라' 반복한 복지부장관... '국시 조정없다'[현장] 의대증원 발표 후 첫 기자간담회... 공공병원·지역의사제는 선 그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여야 당적 떠나 “상속세 완화” 외쳤다…22대 국회의원 100명에게 물어보니매경, 22대 국회의원 100인 설문 부자감세 주장하는 민주당내 ‘이견’ 당선인 10명중 7명 “의대증원 찬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법원결정·여론 업고 의대증원 드라이브 … 올해 1469명 더 뽑는다의대증원 집행정지 '기각'법원, 정부정책 타당성 부여대학 자율조정 필요성 인정'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동의'여론조사서 10명 중 7명 응답중증·필수의료 강화 방안 등의개특위 의료개혁 논의 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