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마자 계엄군과 경찰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되어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청사 통제를 시작했다. 이로 인해 계엄군과 경찰은 중앙선관위에 300명 가까운 인원이 투입되었다.
3일 밤 10시30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에 최초 투입된 ‘ 계엄군 ’ 10여명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대통령 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마자 계엄군 과 경찰이 선관위에 들이닥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제출한 현안보고 자료를 보면, 윤 대통령이 지난 3일 밤 10시28분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2분위 지난 밤 10시30분 계엄군 10여명이 중앙선관위 과천청사에 투입됐다. 이들은 중앙선관위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행동을 감시하며 청사출입을 통제했다. 그 시각, 경찰 10여명은 청사 밖 정문 출입통제를 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거의 동시에 계엄군과 경찰이 중앙선관위 통제에 나선 것이다. 이후 밤 11시50분 경찰 90여명이 추가로 투입됐고 청사 밖엔 버스가 대기했다. 4일 새벽 0시30분에는 계엄군 110여명이 추가로 청사 안으로 투입됐다. 이들은 3시간20여분 동안 1층 로비 등에서 경계작전을 하며 점거를 했고, 새벽 1시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후인 1시50분에 철수했다. 계엄 해제안이 국무회의 의결되고 2시간30분 뒤인 오전 7시에는 경찰도 철수했다.입법부인 국회뿐 아니라 헌법기관인 중앙선관위에도 300명에 육박하는 계엄군이 진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 과천시에 있는 중앙선관위 과천청사에는 계엄군 120명, 경찰 100명이 진입한 후 철수했다. 서울 관악구에 있는 중앙선관위 관악청사에는 계엄군 47명이 투입됐었다. 경기도 수원에 있는 선거연수원에는 계엄군 130명, 경찰 100명이 진입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입법부인 국회에 이어 헌법기관인 선관위까지 군인들을 300명 가까이 대거 투입해 당직 중인 직원들의 핸드폰까지 강제로 뺏으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대체 무엇을 하고자 했던 것인지 의문”이라며 “국회보다 빨리 선관위를 장악하려고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철저히 따져 묻겠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계엄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휴대전화 압수 청사 통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이틀 만에 해제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였으나, 국회의 요구에 따라 이틀 만에 해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은 일시적으로 혼란을 겪었으나, 이후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6시간 만에 해제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6시간 만에 해제했습니다. 비상계엄의 요건과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시민들 혼란과 스포츠 겪어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시민들은 계엄령과 관련된 괴담과 가짜뉴스에 혼란을 겪었지만, 네티즌들의 집단지성으로 인해 가짜 정보를 걸러내는 현상이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6시간 만에 해제윤석열 대통령은 4일 4시 27분에 비상계엄을 해제하였습니다. 이는 전날 오후 10시 25분에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6시간여 만에 이루어진 결정입니다.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를 설명하며, 국회의 해제 요구에 따라 이를 철회하였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국제기구와 외국 정부들의 우려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유엔, 유럽연합, 러시아, 영국 등이 이를 주시하며 우려를 표시했다. 그러나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켜 상황을 종료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150분 만에 철회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150분 만에 이를 철회하였으나, 이번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과 혼란을 가져왔으며, 탄핵, 하야, 거국내각 구성 등 다양한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