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저녁 대전 서구 둔산동의 은하수네거리에서 '윤석열 정권 퇴진 대전시민대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에는 2천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해 '윤석열 퇴진'과 '탄핵'을 외치며, 계엄사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4일 저녁 대전 서구 둔산동 은하수네거리에서 ‘ 윤석열 정권 퇴진 대전시민대회 ’가 열리고 있다. 1시간15분 동안 진행된 이날 집회에는 약 2천여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최예린 기자4일 저녁 8년 만에 “대통령 탄핵”을 외치는 사람들로 가득했던 대전 은하수네거리. 까만 운동 점퍼 차림으로 친구들과 ‘ 윤석열 정권 퇴진 대전시민대회 ’에 참석한 초등학생 이예찬군은 전날 밤 속보를 보고 “어리둥절했다”고 말했다. 2012년생인 이군에게 ‘계엄’은 역사책에서만 얼핏 본 단어일 뿐이었다. 이군은 조금은 상기된 얼굴로 “스마트폰으로 계엄의 뜻을 찾아보고 뉴스를 보면서 불안하고 점점 화도 났다. 그래서 친구들과 나왔다”고 했다.이날 저녁 7시부터 1시간 15분 동안 진행된 이 날 집회에는 2천명이 넘는 시민들이 함께했다. ‘ 윤석열 퇴진’이라고 적힌 손팻말을 든 사람들이 서구 둔산동의 갤러리아타임월드 맞은편 인도와 1개 차선을 가득 메웠다.
불안해서 뉴스를 틀어놓은 채로 잠을 자려는데 도저히 잠들 수가 없었다”며 “엄마·아빠에게 들었던 군사독재와 1980년 광주의 비극이 되풀이되는 건가 싶었다”고 계엄이 선포된 밤에 느낀 두려움과 분노를 이야기했다.처음으로 ‘윤석열 퇴진 집회’에 나왔다는 대학생 홍아무개씨는 “2024년에 계엄이라니…처음에는 북한이 뭔가 도발했나 싶었는데, 대통령이 자신이 탄핵당하지 않으려고 계엄을 선포했다는 걸 알고 어이가 없었다. 전두환처럼 대통령이 국가를 마음대로 하려고 하는 걸 두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회사 동료들과 함께 집회에 참석했다는 박아무개씨는 “영화에서 5.18민주항쟁을 접했는데, 계엄 선포를 보는 순간 갑자기 전두환 독재정권으로 돌아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분노가 치밀어올라서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고 했다.중학교 1학년이던 1980년 5월 광주 충장로의 광장에 서 있었다는 한아무개씨는 “그 당시 도청으로 모이라는 소식을 듣고 친구와 함께 전남도청 앞 분수대로 나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려대,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 발표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며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 학생들은 대학이 시대에 질문을 던지고, 옳지 못한 것에 분노하고 목소리를 내야 함을 강조하며, 현재 정부가 민주주의와 정의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보수의 심장까지 확산된 시국선언…대구·경북 지식인 396명 “윤석열 퇴진하라”대구·경북지역 지식인 396명이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의 퇴진 요구가 보수의 심장인 TK까지 확산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충북 지역 시민사회 정권 퇴진 시위 확산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결과 충북 지역에서는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비상계엄 해제 후에도 지역 사회는 여전히 혼란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퇴진, 특검 촉구” 커지는 대학가 시국선언···교수 1765명 참여대학가에서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이 계속되고 있다. 14일까지 각 대학 교수·연구자 1765명이 윤 대통령의 퇴진 등을 요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구경북 지식인,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 발표대구경북지역에서 지식인 사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시국선언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하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퇴진을 요구하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는 7일, 서울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3차 총궐기 예정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와 전국민중행동이 3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 퇴진 3차 총궐기 범국민대회’를 선포했다. 3차 총궐기도 앞선 대회와 마찬가지로 세종대로에서 열릴 예정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