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의 '국민참여'분과 없는 탄소중립위... 국민의견 필수적

대한민국 뉴스 뉴스

윤 정부의 '국민참여'분과 없는 탄소중립위... 국민의견 필수적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6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1%

윤 정부의 '국민참여'분과 없는 탄소중립위... 국민의견 필수적 빠띠 탄소중립 시민참여 기후정의 거버넌스 권오현

문재인 정부 시기, 국민들을 대표하는 국민들인 '탄소중립시민회의'도 국민참여의 일환으로 진행하였다. 인구 비율을 고려해 구성한 533명은, 특히 2030년과 2050년을 정면으로 살아갈 10대들을 23명 포함함으로써 미래세대의 대표성을 강화하였고, 100세 시대를 감안하여 보통 60대 이상으로 모집하는 고령층 그룹도 60대와 70대 이상으로 세분화하였다는 특징을 가진다. 10년, 30년 후를 고려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미래세대와 청년세대에 가중치를 높이는 안도 논의 과정에서 고려하기도 했다.

위상과 권한 등 여러 과제들이 남아 있지만, 당시 활동했던 탄소중립시민회의는 앞으로 맞닥뜨릴 다양한 쟁점을 대표성을 가진 시민들이 숙의를 통해 때론 이해당사자로서 때론 중재자로서 역할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국민들에게 충분한 자료와 설명이 제공된다면, 탄소중립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그러나 돌이켜보면 이 과정은 짧아도 너무 짧았다. 시민회의는 기본적으로 2년은 운영해야 하고, NDC안과 탄소중립시나리오를 만드는 과정은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듣는 것을 넘어, 다양한 입장들이 서로 부딪히는 토론회와 공론장을 충분히 열면서 천천히 운영하는게 바람직했다. 더 나아가 탄소중립시나리오라는 말처럼 다양한 시나리오를 사회 각계각층에서 상상하는 장을 위원회는 만들어야 했다.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해 회의록을 공개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고, 실제로 의결과 심의를 담당하는 법률로 규정한 위원회였지만, 위원회 내에서도 논의와 의사 결정 체계, 권한의 범위, 추진 체계를 아쉬워하는 위원들이 적지 않았다. 이는 곧바로 협의체 구성에서도 문제로 이어졌고, 시민회의로까지도 이어진다. 두번째는 공론장의 확대다. 시민회의에서 많은 시민들이 석탄발전소의 문제를 깊게 생각한 까닭은 정의로운 전환, 즉 일자리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동시에 올해 초부터 시민들이 피부로 실감하는 전기세와 난방비 문제 역시, 탄소중립 정책과 떼어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이슈다.

누군가는 과학 기술의 가능성을 다양하게 모색할 수도 있고, 누군가는 일자리 소멸의 충격을 혁신적인 방식으로 해결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도 있다. 기후 약자를 돌보는 것을 넘어 생태 전반을 함께 되살리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국민들이 다양한 기후위기 극복 시나리오를 상상하고 제시하기 위해서 국가는 국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기후 관련 공공 데이터를 민간과 함께 더 적극적으로 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충분히 존재해야 NDC가 35%냐, 40%냐, 50% 이상이어야 하냐의 논쟁이 과학적이면서도 민주적인 대화와 설득, 경쟁과 합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탄소중립 정책 수립 과정에 각계각층의 다양한 국민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던 국민참여분과는 그러나 지금 윤석열 정부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탄소중립, 국민참여 필수적인 이유... '보통 국민' 의견 들어야탄소중립, 국민참여 필수적인 이유... '보통 국민' 의견 들어야탄소중립, 국민참여 필수적인 이유... '보통 국민' 의견 들어야 빠띠 탄소중립 시민참여 기후정의 거버넌스 권오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가 피해자 외면 않도록 여성들이 연대할 것”···수요시위서 강제동원 해법 규탄“정부가 피해자 외면 않도록 여성들이 연대할 것”···수요시위서 강제동원 해법 규탄세계 여성의 날인 8일 열린 수요시위에서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의 강제동원(징용) 해법을 두고 비판이 쏟아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민단체, “윤 대통령 당선 1년, 민생파탄·검찰공화국 탄생”시민단체, “윤 대통령 당선 1년, 민생파탄·검찰공화국 탄생”윤석열 대통령 당선 1년을 맞아 시민단체들이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해 주거·부동산, 권력기관, 한반도 평화, 조세·재정, 노동, 환경 등 “전 분야에서 퇴행했다”고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0년 지나도 악쓸거냐' 석동현, 12년전 일본 의원들 내쫓았다'100년 지나도 악쓸거냐' 석동현, 12년전 일본 의원들 내쫓았다'100년 지나도 악쓸거냐' 석동현, 12년전 일본 의원들 내쫓았다 석동현 일제_강제동원 민주평통 이정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31 15: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