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에너지부에 경위 설명 요구 ‘담당자 부재’로 인해 확인 지연 사실관계 확인 후 적극 대응 방침
사실관계 확인 후 적극 대응 방침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하는 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해당 조치가 확정되지 않았으며, 정부 차원에서 미국 측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과 향후 협의를 통해 규제 실현을 막겠다고 공언했다. 다만 명단 확정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아직까지 미국으로부터 사실 관계 확인조차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가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는 최근 산하 연구기관에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내달 15일 지정 작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공문에는 한국 등 4개국을 새로 민감국가로 추가하는 방안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사실상 어느 기준에도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 정부는 신속하게 미국 측에 사실 관계 확인을 요청했다. 하지만 미국 에너지부에서 아직 명확한 답은 오지 않은 상황이다. 애초 미국은 우리 정부에 한국에 대한 민감국가 지정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이라는 사실도 알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특파원칼럼] 한국에서 온 손님들, 워싱턴에 남은 질문들미국 찾아온 한국 국회의원들국내 정치 의제 내밀자 美 어리둥절'韓 정부 바뀐 후 트럼프 정책 적용'곤혹스러운 요청에 현지정가 '난감'한국 내부 문제, 韓서 답 찾아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의 일 아니다”…포커치듯 외교하는 트럼프, 한국의 카드는전문가들이 본 대미전략 여과없이 드러난 美 외교 민낯 안보위협 직면한 韓 철저 대비 韓, 단순한 무역 상대국 아닌 동아시아 안보 핵심축 강조 트럼프, 우크라보다 한일 중시 한미일 협력 제도적 틀 활용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한국 ‘민감국가’ 분류 검토?…당혹한 정부, 경위 파악 분주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명단에 추가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한·미 외교가에서 퍼지고 있다. 10일 외교가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비 민감국가에서 민감국가로 재분류할 수 있다는 취지의 내용이 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미국이 조선업,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이 큰 동맹국인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할 경우 양국 관계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셈이다. - 민감국가,에너지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동훈 “지금도 배신자 프레임 씌우기…與, 계엄 막은 당이어야”韓, 26일 저서 출간…일부 서점서 ‘오픈런’ “계엄 단죄 안 하면 이재명 막을 명분 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학개미 김 부장, 요즘 표정 폈네”…반등하는 코스피, 올해 얼마 올랐나 보니韓 주식형펀드 수익 美 추월 탄핵정국 속 꺾였던 국내증시 올해 코스피 10% 올라 회복세 M7 부진에 美증시는 지지부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포커게임 외교' 대응하려면 …'통상·안보 히든카드 먼저 준비'전문가들이 본 대미전략여과없이 드러난 美 외교 민낯안보위협 직면한 韓 철저 대비韓, 단순한 무역 상대국 아닌동아시아 안보 핵심축 강조트럼프, 우크라보다 한일 중시한미일 협력 제도적 틀 활용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