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수준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경우 30년 뒤인 2050년께 일부 댐과 제방에서 홍수 피해가 4년마다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 장마때 면적강수량 예년의 1.7배 지난달 6일 오전 한강 수위 상승으로 전면 통제 중인 서울 잠수교. 연합뉴스 20일 환경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 강수량과 홍수량 증가 정도’를 전문가와 함께 검토한 결과라며 이렇게 밝혔다. 환경부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을 꾸려 관련 연구를 해왔다. 연구엔 온실가스를 현재 수준으로 배출하는 시나리오가 적용됐다. 우선 강수량은 21세기 초반과 중반, 후반에 각각 3.7%, 9.2%, 17.7%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1세기 후반엔 강수량이 41.3%까지 증가하는 연도가 있었다. 월별로는 9월 증가폭이 24.3%로 가장 컸고, 11월은 -0.6%로 줄어 계절 편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댐과 하천제방 등 홍수방어시설 설계에 참고하는 ‘기본홍수량’의 경우 2050년께 홍수량이 지금보다 11.8% 느는 것으로 전망됐다. 유역별로 편차가 컸는데 한강은 -9.5%로 조금 주는 반면, 금강 20.
4%, 섬진강 29.6%로 큰 폭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현재 100년에 한번 범람하는 것을 예상해 설계한 댐과 하천제방의 치수안전도가 2050년엔 최대 3.7년까지 급격히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온실가스 배출을 지금 수준으로 지속하면 기후가 변해 홍수로 인한 범람 주기가 2050년께 4년에 한번꼴로 잦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장마 기간 면적강수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이 840㎜로 예년 492㎜의 1.7배였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섬진강 유역은 1069㎜를 기록해 예년의 2배 수준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 일대 유역에 내린 역대 가장 많은 강수량이며, 전북 남원과 광주의 강수량은 24시간 기준 364㎜, 462㎜로 확률적으로 500년 빈도를 상회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박기용 기자 [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웹툰 선정성 논란 되풀이...마땅한 규제책 없다[앵커]웹툰의 선정성과 여성혐오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과연 어디까지 표현의 자유를 허용해야 할지 애매한 가운데 규제책도 마땅치 않아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최근 논란이 된 네이버 웹툰의 '헬퍼2 : 킬베로스' 입니다.미성년자를 성적으로 대상화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이진 못해도…목소리를 내는 또다른 방법이 비대면 집회는 유튜브로 생중계됐다. 참가자들은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를 촉구했다. 코로나19는 한 공간에 여러명이 모여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는 전통적인 집회의 방식을 바꿔놓았다. 시민들은 저마다의 상상력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