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DDR5X’ 하반기 양산 계획 저전력·고성능 메모리 솔루션 이전 세대 비해 용량도 30% 향상
이전 세대 비해 용량도 30% 향상 삼성전자가 급성장하는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시장을 겨냥해 업계 최고 속도의 차세대 D램을 개발했다.이 제품은 12나노급 LPDDR D램 중 가장 작은 칩으로 구현한 저전력·고성능 메모리 솔루션으로 온디바이스 AI에 최적화됐다.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 등 기기에서 구동되는 AI를 뜻한다. 온디바이스 AI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가운데 저전력·고성능 LPDDR의 역할도 커지는 시점이다.이와 함께 성능과 속도에 따라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가변 최적화 기술’과 ‘저전력 동작 구간 확대 기술’ 등을 적용, 전 세대 제품보다 소비전력도 약 25% 개선했다.삼성전자는 이 제품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모바일 업체와 협업해 제품을 검증한 후 하반기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클라우드 기반 AI를 넘어 단말 내부 자체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AI가 급부상하면서 저전력·고성능·고용량 모바일 D램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전 세계 모바일 D램 매출이 2023년 123억달러에서 2028년 263억달러로 2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클라우드 AI의 핵심이 고대역폭 메모리였다면 온디바이스 AI는 LPDDR이 중추 역할을 맡는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이 향후 모바일 분야를 넘어 AI PC, AI 가속기, 서버, 전장 등 다양한 응용처에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장은 “저전력·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LPDDR D램 응용처가 기존 모바일에서 서버 등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객과 긴밀하게 협력해 온디바이스 AI시대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끊임없이 혁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AI칩 몰아붙이는 하이닉스…PC용 메모리 내놔엔비디아 주최 콘퍼런스서연속 읽기·쓰기 속도 '최고'5세대 SSD 신제품 첫 공개온디바이스 AI 강자 노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서 가장 강력한 칩”…AI 반도체 ‘왕좌’ 굳히는 엔비디아인공지능(AI) 반도체 최강자 엔비디아가 성능을 대폭 끌어올린 차세대 AI 반도체를 선보이며 입지 굳히기에 들어갔다. 치열해지는 AI 반도체 시장 경쟁에 따라 AI 진화 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엔비디아, 가속페달 더 밟는다…‘추론성능 30배’ 차세대 AI 반도체 공개인공지능(AI) 반도체 최강자 엔비디아가 성능을 대폭 끌어올린 차세대 AI 반도체를 선보이며 입지 굳히기에 들어갔다. 치열해지는 AI 반도체 시장 경쟁에 따라 AI 진화 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르는 게 값” 요즘 난리라는데…돈 쓸어모을 한국기업 ‘어디’?대만 지진으로 마이크론 공급 차질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사이익 기대 2분기 D램 가격 25%까지 오를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전자, AI 시대 이끌 차세대 메모리 기술 CXL·HBM 공개삼성전자가 26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글로벌 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넥스트 엔비디아 찾았다…온디바이스 AI·NPU 집중 투자 ETF 주목” [자이앤트TV]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 AI ETF ‘넥스트 엔비디아’ NPU 주목 온디바이스 AI 위한 핵심 반도체 IT기기 혁명으로 이어질 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