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생각의 일요일들』은 트위터 글을 모은 책이기 때문에 사실상 이번이 에세이 데뷔작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책에서 '인간이 가진 단 하나의 고유성을 지켜주도록 돕는다는 생각으로 글을 쓰고 싶다'고 했다. 저는 모든 인간이 각기 다른 내면(고유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문학이라고 생각해요'.
소설가 은희경이 12년 만에 산문집을 선보였다. 지난달 말 세상에 나온 『또 못 버린 물건들』이다. 웹진 채널예스에 반 년간 연재한 ‘은희경의 물건들’ 원고를 다듬어 단행본으로 만들었다.소설가로는 28년 차이지만 에세이집을 낸 것은 2011년 『생각의 일요일들』에 이어 두 번째다. 그는 “『생각의 일요일들』은 트위터 글을 모은 책이기 때문에 사실상 이번이 에세이 데뷔작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가 스마트폰으로 직접 찍은 물건 사진도 함께 담았다. 첫 인세로 산 맥주잔 세트 등 일상의 물건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갖고 싶은 대상에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맥시멀리스트’의 정체성을 유머러스하게 풀어냈다.
그는 책에서 “인간이 가진 단 하나의 고유성을 지켜주도록 돕는다는 생각으로 글을 쓰고 싶다”고 했다. 어떤 의미일까. “우리는 자신의 틀에 맞춰 타인을 재단하잖아요. 그게 폭력이 될 수 있거든요. 저는 모든 인간이 각기 다른 내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문학이라고 생각해요.” 인간의 고유성은 그가 30년 가까이 천착한 주제다. 2014년 그는 『다른 모든 눈송이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단 하나의 눈송이』라는 특이한 제목의 소설집을 내놨다. “비슷해 보이는 눈송이도 제각각 달라요. 하물며 인간은 어떻겠어요. 그게 제 소설의 반복되는 주제입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를 ‘휴머니스트’라고 불러야 할 텐데, 그에게는 ‘냉소의 작가’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권위의식, 전체주의, 획일성을 비틀어 보는 주제 의식 때문이다. 그는 1990년대부터 개인을 주제로 글을 썼다. 참여문학이 주목받던 시절이었고, 여성 일탈에 관해 쓰면 “좀 더 진중한 주제를 다루는 게 좋겠다”는 핀잔을 듣던 시기였다. 그는 냉소주의자라는 평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우리 사회의 전체주의에 대해선 여전히 냉소적 시각을 가지고 있어요. 그렇다고 인간을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거든요. 오히려 ‘같이 어우러져 살자’는 주의예요. 단 나란히 앉아서 세상을 바라보는, 그 정도 연대가 좋다는 거죠. 고독의 연대라고 할까요. 리얼리스트가 연대하는 방식은 이 정도인 것 같아요.”
그는 새 장편을 준비 중이다. 인간의 몸에 대한 이야기다. 내년에 계간 문학동네에 연재한다. “인간의 몸은 타고나는 것이지만 성장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으면서 변화하기도 하죠. 결국엔 모든 몸이 소멸하게 되고요. 그 과정을 두루 담은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재밌는 것이 넘쳐나는 시대에 왜 소설을 읽어야 할지 묻자 은희경은 “핫하지 않은 장르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냉소의 작가답다. “모두가 좋아하는 것, 많은 공감을 받는 것, 대중적인 것, 그런 것으로만 사회가 이뤄질 수 없어요. 소외된 것, 그늘진 것을 보는 시선도 있어야 하고요. 그래서 저는 문학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러면서 소설을 쓸 때의 원칙도 소개했다. “아는 것에 대해서만 편하게 씁니다. 편하게 쓴다고 해서 안이하게 쓴다는 뜻은 아니에요. 어깨에 힘을 빼고, 대작을 쓰려는 욕심을 버리고 쓰자는 의미죠.”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제발 집에 버려라”…슬그머니 닭뼈 버리고 간 남성에 편의점주 분노‘CCTV 촬영 중’ 안내문에도 쓰레기 투척 점주가 연락하자 “연락할 이유 없다” 거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학은 인간에게 고유성 돌려주는 것'...은희경 12년 만의 신작 에세이199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은희경이 12년 만에 산문집을 선보였다. 은희경은 '『생각의 일요일들』은 트위터에 쓴 짧은 글을 모은 책이기 때문에 사실상 이번 책이 에세이 데뷔작인 셈'이라고 말했다. 저는 모든 인간이 각기 다른 내면(고유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문학이라고 생각해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석삼조 독일 태양광…탄소 없이 내가 쓰고, 남으면 팔고[한겨레S] 이유 있는 유럽 태양광 패널·ESS 가정 설치 증가낮에 발전, 밤엔 저장전기 사용초기 비용 들지만…‘탈탄소’ 대의 독 정부, 보조금·면세 파격 지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력 수요, 감당할수 있겠습니까전력 총수요 100GW 돌파…전력이 국력이다반도체·AI 등 첨단산업 성장에 수요 폭증 '2050년엔 200GW''매년 원전 2기 용량씩 늘어'…설비 증가 속도는 한참 못 미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재시공 결정 'GS 검단 아파트' 입주자들 '보상금으로 방 한칸 못 구해'GS건설의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가 총체적 부실시공이 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맥 못 추는 이차전지...또 시작된 공매도 전쟁[앵커]한때 붐이 불었던 이차전지 관련 주들이 최근 좀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