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모습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서평 박창원 그제_뉴쓰 대구경북 김두현 기자
뉴스는 새로운 소식이다. 지나간 소식도 뉴스가 될 수 있을까? 박창원 계명대 타불라라사 칼리지 교수가 에 연재 중인 글을 모안 낸 책 이름이 이다. 그는 2019년에도 라는 책을 낸 바 있다.여기 실린 대구경북 지역 사람들은 이른바 권력층이 아니다. 이 지역에서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민초들이다. 그들의 삶의 모습을 통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원형을 찾아가고 있다. '소값은 날로 떨어지고 있는 반면 소고기 값은 한번 인상된 채 가격의 변동이 전연 없으니 도대체 어떻게 된 사실인가 하는 일반의 여론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소값이 떨어져도 소고기 값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70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대로인 것을 1949년 2월 15일자 매일신문의 전신인 의 보도로 우리는 알 수 있다. 희망대학은 서울이 압도적이었다. 열중에 아홉은 서울의 대학에 가기를 원했다.
70년 전으로 떠난 시간여행에는 지금은 사라진 당시 삶의 모습과 지역의 현안도 생생히 담겨 있다. '미나리꽝 도시 대구', '신천을 두드린 빨래방망이', '야간열차는 쓰리꾼 천국'등에는 민초들의 일상이 잘 담겨 있다. 시간은 늘 앞으로만 흐르는 게 아니다. 박창원 교수의 말처럼 시간은 때로는 뒤로도 흐른다. 지나간 삶의 모습에서 오늘 우리의 모습이 어디로부터 왔는지 반추해볼 수 있다. 박창원 교수의 는 가깝지만 가깝지 않고 멀지만 그리 멀지 않는 우리네 삶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스프] 핵폐기물에 대해 우리가 오해하고 있는 것들*는 친환경 원전 캠페인(the Campaign for a Green Nuclear Deal)의 창립자다. 지난 2월, 일본 후쿠시마의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장을 찾은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아 코르테즈 하원의원은 정치인에게서 보기 드문 발언을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5억 원으로 4000만 달러 '설국열차'에 덤빈 영화35억 원으로 4000만 달러 '설국열차'에 덤빈 영화 그_시절,_우리가_좋아했던_영화 이경영 하정우 더_테러_라이브 김병우_감독 양형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 다 알고 있다?…이들과 함께라면, 더 재밌는 제주 만난다 | 중앙일보제주도가 너무 익숙하다면? 깊이를 더해주는 투어를 추천합니다.\r제주 여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견례 자리, 우리만 서먹서먹한 것일까상견례 자리, 우리만 서먹서먹한 것일까 상견례 사돈 며느리 결혼 아들 김종섭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법적 효력 있는 디지털 유언장 제도 만든다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일본 정부는 법적 효력이 있는 디지털 유언장을 작성해 보관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젠 공짜로 즐긴다…입장료 사라진 국립공원 탐방로, 어디 | 중앙일보지금까지 국립공원 내에 있는 사찰은 1000원에서 최대 6000원을 징수했습니다.\r국립공원 입장료 사찰 문화재관람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