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향한 경계감이 다시금 커지고 있다. 예금 금리의 고공행진으로 주요 저축은행마저 올해 상반기 적자를 ...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앞. 연합뉴스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향한 경계감이 다시금 커지고 있다. 예금 금리의 고공행진으로 주요 저축은행마저 올해 상반기 적자를 낸데다, 경기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는 탓이다. 새마을금고를 둘러싼 잔불이 남아 있는 가운데 저축은행마저 흔들리면 시장 심리 전반이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나이스신용평가 보고서를 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8일 페퍼저축은행과 더케이저축은행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강등했다. 현재 BBB인 이들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향후 BBB-로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통상 BBB- 바로 밑인 BB+부터는 신용위험이 현저하게 높은 ‘투기 등급’으로 분류된다. 지난 6월 웰컴저축은행과 오에스비저축은행의 등급 전망이 강등된 데 이어 ‘줄하향’ 움직임이 계속되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올해 저축은행의 실적이 대폭 악화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41%에서 올해 상반기 말 5.33%로 빠르게 오르고 있다. 시장에서는 경기에 민감한 부동산 관련 기업대출이나 가계 신용대출의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을 특히 경계하고 있다. 국내 경기 전망이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는데다, 고금리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비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상황도 나빠지고 있는 탓이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6월 등급 전망을 하향조정한 웰컴저축은행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부동산금융과 가계 신용대출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들었다. 저축은행의 실적을 둘러싼 ‘먹구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페퍼저축은행 보고서에서 “고금리 지속과 부동산 경기 저하 추세 등으로 향후에도 회사 수익성은 저하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신용평가도 지난 1일 낸 보고서에서 “하반기에도 수익구조 안정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시장에서는 저축은행을 향한 불안 심리가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지 모른다는 긴장감도 읽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저축은행 상위 5개사, 부동산PF 연체율 1년 새 3배↑지난 2분기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이 1년 사이 3배 급등한 것으로 나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대 저축銀 부동산PF 연체율 1년새 3배로1%대에서 6월말 3.96%3개월이상 연체도 급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돈 많이 줄 때 일했어야지”…신입부턴 최저임금 준다는 이곳과열됐던 고용시장 냉각 신호탄 기준금리 인상 전망 쑥 들어가 연준 관계자들 “긴축 기간이 관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돈 쓸일 많은데 올해 ‘세수펑크’ 60조될듯...내년 세수도 고민올 국세수입 예상보다 60조 부족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축은행 기업대출 부실 위험, 부동산·건설업 중심 확산금융연구원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로코서 강진, 사망자 최소 820명…'역사도시' 문화유산도 피해USGS, 인명피해 우려 '황색 경보…피해 집중 아틀라스산맥 지역 길 끊기거나 산사태로 막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