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여행작가 생활을 지금까지 20년 넘게 했지만 아직 가보지 않은 곳이 이렇게 많다니! 얼마 전 어떤 일 때문에 대한민국 지도를 살펴보다가 ‘상주’라는 지명을 발견하고는 지금껏 상주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는 걸 알게 됐다. 그래서 가보지 않은 곳이 또 어디가 있
을까 하고 천천히 지도를 더듬어 보았는데 생각보다 많았다. 수도권과 강원도, 전라도, 충청도, 경상남도는 다 가봤는데 이상하게도 경북 쪽에 가보지 못한 도시가 몇 곳 있었다.어디 보자. 상주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것 같고, 그 아래 김천은 직지사와 구상문학관에 가본 적이 있다. 성주에는 뭐가 있더라. 얼른 떠오르는 것이 없다. 성주에는, 그렇지 참외가 유명하지. 그 아래 고령은 가본적이 있다. 구미에는 공단 말고 뭐가 있지? 경산은 경주 가는 길, 대구를 지나면서 표지판을 본 적이 있지만 가본 적이 없다. 예천에는 회룡포가 있다는 걸 알지만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
지난 8월 셋째주 트렁크에 티셔츠 몇 장, 갈아입을 속옷과 양말을 챙겨 넣은 후 차 시동을 걸었다. 자, 이번엔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으로의 여행이다. 상주-성주-구미로 이어지는 경북 서부 코스다. 지도를 보다가 가본 적이 있는 군위도 추가했다. 군위에는 내가 좋아하는 ‘혜원의 집’ 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 세트장인데 내가 갖고 싶은 집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1박2일 정도면 될 것 같다.지금까지 여행작가로 살아오며 속으로 가장 많이 되뇐 말이 ‘일단 가보자, 가다 보면 어떻게 되겠지, 가보면 뭐라도 있겠지’다. 그러고 보니 여행은 글을 쓰는 것과 비슷한 것 같다. 글을 쓰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일단 첫 문장부터 써 보는 것이다. 쓰다 보면 뭐라도 되겠지 하는 마음으로 조금씩 써 나가다 보면, 근사한 뭔가가 만들어져 있을 때도 있고, 영 엉터리가 놓여 있을 때도 있지만, 그래도 뭔가 한 편의 글이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성주 시내에서 하룻밤 묵었다. 하루 종일 혼자서 낯선 곳을 돌아다니는 사람에게 숙소는 중요하다. 그래서 시내 쪽에 자리한 조금 좋은 곳에 묵으려고 한다. 시내에 숙소를 잡고 저녁을 먹으러 갔는데, ‘돼지국밥’이라는 간판이 보이길래 주저하지 않고 들어갔다. 낮에도 국밥을 먹었지만, 그건 우거지국밥이고 이번엔 돼지국밥이니까. 경상도에 오니 돼지국밥이 기본이라 좋다. 경상도에서는 메뉴에 순대국밥이 있어도 그 선택에 있어 순대국밥은 돼지국밥보다 한참 후순위에 자리한다. 부추가 가득 담긴 접시가 기본으로 나오는 것도 마음에 든다. 돼지국밥에 부추를 잔뜩 넣으니 비로소 경상도에 여행을 왔다는 것이 실감이 났다.오랜만에 타보는 케이블카다. 대혜폭포는 구미 금오산에 있는데, 걸어서 갈 수도 있고 케이블카를 타고 갈 수도 있다. 선택은 물론 케이블카다. 50대다. 타고 갈 수 있다면 최대한 타고 간다. 케이블카가 레트로 풍으로 예쁘다. 그도 그럴 것이 1974년에 개통했다고 한다.
안내원 아저씨 말대로 도선굴 안 갔으면 후회할 뻔했다. 벼랑길을 걸으며 살짝 다리가 후들거리기도 했다. 이왕 여행을 왔다면 약간 무리해서 작은 용기라도 내보는 것이 좋다. ‘거기엔 뭔가가 있다’는 걸 확인하는 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도선굴 앞에 서니 금오산 아래로 펼쳐진 구미가 훤히 내려다보였다. 대혜폭포도 생각했던 것보다 볼만했다. 폭포 물이 조금 더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내려가는 케이블카 안에서 한 아주머니가 “내가 신발만 쪼메 괜찮은 거 신고 왔어도 도선굴 가보는 건데 마이 아십네예”라고 하자 다른 아저씨가 “그 신발이면 충분합니다. 좋은 거 신었구만”이라고 하셨다. ‘저도 그냥 운동화 신고 다녀왔어요’라고 말하려다가 그냥 가만히 있었다.영화 ‘리틀 포레스트’는 인상 깊게 본 영화다. 고된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고향으로 내려온 혜원이 고향 미성리에서 농사를 짓고 음식을 해 먹으며 살아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영화를 보며 이런 작업실 하나 갖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나무로 만든 마룻바닥이 있고 작은 방과 부엌 하나가 있는 집에서 쓰고 싶은 글을 쓰며 살고 싶었다. 그리고 나는 지금 혜원의 집 평상에 앉아 오후의 햇살이 만드는 담장의 그림자를 바라보고 있다. 뭐, 당장은 무리지만 언젠가 이런 곳에 작업실을 마련할 날이 오겠지. 그나저나 자기가 쓰고 싶은 글만 쓰고 사는 작가는 어떤 기분일까. 원고청탁이 오면 “죄송합니다만, 그런 글은 쓰지 않습니다”하고 정중하게 거절할 수 있는 그런 인생 말이다. 떠나고 싶을 때 떠날 수 있는 인생은 대충 이룬 것 같지만,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인생을 이루기엔 아직 한참 모자란다. 살면서 진정으로 성공한 인생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사는 게 아니라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됐다. 참, 군위에 와서 군위가 대구에 편입됐다는 걸 뒤늦게 알았다.대구광역시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은 중앙선에 위치한 간이역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죽고자 해도 죽을 곳이 없다”…일제가 앗아갔던 ‘의병 서신’ 고국에“글을 받고 다 읽기도 전에 옷깃 가득 적시는 눈물을 멈출 수 없었습니다. 우리 의병 부대의 군사장 왕산(旺山:구한말 의병장 허위의 호) 선생이 체포됐습니다. 이(理)에는 변하지 않음이 없고 변함에는 지극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나 우리나라 대한의 사정은 어찌 이토록 참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숙박시설 하루 한번 불 난다는데…눈 씻고 찾아봐도 천장에 ‘이것’ 없네부천 호텔도 스프링클러 없어 2017년 이전에 준공한 건물은 의무설치 규제 적용 안 받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UCLA 교수 'AI, 로봇 상용화 크게 앞당겨'(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은 꿈이었어요. 3년 전만 해도 집에서 빨래나 청소하는 로봇은 내 생전에 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력직 선호에…20대, 갈 곳이 없다올해 1분기에 20대 일자리가 지난해보다 10만개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폭이 10만개를 웃돈 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인구 감소와 경력직 선호 현상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집공급 막는 낡은규제…집값은 활활정부 8·8 부동산대책에도서울 6년만에 최대 상승'20년 묵은 정비사업 법령이익환수·공공기여 손봐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가면 죽는다, 일단 버티자”…대기업 50대 부장님, 20대 직원수 추월대기업의 50대 직원 수가 20대 직원 수를 넘어서며 고령화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저출생·고령화 영향과 더불어 기업들의 채용 방식이 대규모 공개채용 위주에서 경력 위주로 바뀐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순위 500대 기업 중 임직원 세대별 현황을 공개한 123개사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