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군 시천면에 있는 덕천서원과 산천재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는 남명 조식 선생의 흔적이 여러 군데 남아 있다. 제자들을 키우며 만년을 보낸 산천재와 맞은편에 있는 남명기념관 그리고 1576년,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제자들이 세운 덕천서원과 세심정이 그곳이다. 특히 덕천서원은 배롱꽃이 아름다워 여름이면 사람들의 발걸음이 잦다.
입구인 시정문에 들어서면 양쪽에 큰 배롱나무가 서있고 서원의 중심이자 강당인 경의당이 보인다. 경과 의는 선생의 사상의 핵심이다. 敬은 내면, 마음을 수양하는 것, 義는 밖으로 행동을 결단하고, 발현하는 것을 말한다. 곽재우, 김면, 조종도 등 선생의 문하에서 의병장들이 유난히 많이 배출되고, 그들이 활약했던 이유이기도 하다.양쪽에는 생활공간인 진덕재와 수업재가 있고 경의당 뒤편에는 선생의 위패를 모신 숭덕사가 있다. 서원은 아담하고 소박하다. 곳곳에 아름드리 큰 배롱나무가 붉은 꽃을 활짝 피우고 서원과 어울어져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유난히 붉게 느껴지는 숭덕사 곁 배롱꽃을 한참 바라보았다.서원 건너편 덕천강가에 유생들의 휴식처였다는 세심정이 있다. 곁에는 남명의 욕천이라는 제목의 시비가 서 있다. 선생이 마흔아홉 살 때 의령 감악산 골짜기에서 목욕을 하며 지었다는 시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마음 읽기] 고갱의 그림 ‘우리는 누구인가’배휴는 법당을 안내하는 주지 스님에게 '영정은 여기 있는데, 고승은 지금 어디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스님, 영정은 여기 있는데, 이 고승들은 지금 어디 있습니까' 그러자 황벽 선사가 호령하듯 말했다. '배휴여! 그러는 당신은 지금 어디 있습니까?' 이에 배휴는 대답하지 못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선 중증도 높을수록 실명 유발 ‘포도막염’ 위험 높아건선 중증도가 높을수록 실명을 일으키는 포도막염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세준(안과)·윤상웅 최종원 김보리(피부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공동 저자 최승우 안과 임상강사, 김민재 피부과 전공의)이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한국인 건선 환자에서 포도막염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다. 건선은 피부에 두꺼운 각질과 함께 붉은 발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보] “강한 바람에 서 있기도 힘들어”…상륙하는 태풍 ‘카눈’북상하고 있는 6호 태풍 '카눈'은 오늘(10일) 오전에 경남 사천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진] 여름 밝히는 붉은 꽃, 배롱꽃이 만개했습니다[사진] 여름 밝히는 붉은 꽃, 배롱꽃이 만개했습니다 배롱꽃 표충사 월연정 김숙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굴 살다 눈이 없어져 버린 신종 거미 발견일반적으로 거미 눈은 8개입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작년 2월 경남 합천군에 있는 한 동굴에서 눈이 퇴화해 없어진 신종 진동굴성 거미를 발견했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