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남산의 여러 계곡 중 하나인 열암곡에는 엎어진 채로 발견된 마애불이 있다. 2007년 5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머리(불두)가 잘린 열암곡 석불좌상 보수를 위해 작업하던 중 이 마애불을 발견했다.
사진 크게보기 경북 경주 남산 열암곡에서 발견된 마애불. 불상의 콧날과 바닥의 거리가 5㎝에 불과할 정도로 아슬아슬한 상태로 발견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북 경주 남산의 여러 계곡 중 하나인 열암곡에는 엎어진 채로 발견된 마애불이 있다. 2007년 5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머리가 잘린 열암곡 석불좌상 보수를 위해 작업하던 중 이 마애불을 발견했다. 불상을 새긴 바위는 높이 5.6m, 무게는 70~80t으로 추정된다. 이 거대한 불상이 속절없이 고꾸라지면서도 코끝 하나 다치지 않아 ‘5㎝의 기적’이라고 불린다. 불상의 콧날과 바닥의 거리가 5㎝에 불과할 정도로 아슬아슬한 상태로 593년을 버텨내서다.경주시는 대한불교조계종, 문화재청과 함께 열암곡 마애불을 2025년에 바로 세우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조계종은 앞서 지난 11일 ‘마애불 바로 세우기’를 포함한 주요 사업을 담은 ‘천년을 세우다’ 프로젝트 추진 준비위원회 발족식에서 사업 계획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경주시는 마애불을 세우는 방안과 관련해 안전성을 파악하는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맡은 ‘마애불 보존 관리 방안 연구 용역’에 대한 결과는 올해 8월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경주시 관계자는 “내년에는 불상과 같은 크기의 모형으로 모의실험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열암곡 마애불은 과거 큰 지진 때문에 넘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2018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용역결과 보고서를 통해 이 불상이 약 600년 전에 넘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연도를 좁히면 진도 7 안팎의 지진이 잇따랐던 1430년이 유력하게 꼽혔다.발견 당시 문화재청은 마애불을 바로 세우려고 했지만, 작업은 쉽지 않았다. 무게가 70~80t에 달하는 데다 불상이 엎드려 있는 곳의 경사도도 40~50도에 달한다. 해발 300m가 넘는 산 중턱, 크레인 등이 동원되기에 협소한 산길 등도 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경주시 관계자는 “2021년 마애불 주변의 지반을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축대벽을 쌓아 올리는 보강 공사를 했다”며 “산사태나 호우로 바위가 훼손되지 않도록 마애불 주변에 철망을 설치하는 등 훼손 위험성도 줄인 상태”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0m 절벽 아래로 승용차 추락...4명 숨져200m 절벽 아래 SUV 추락한 채 발견 / 남성 4명 숨진 채 발견 / 경찰, 탑승자 4명 관계·추락 원인 등 조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령 대리수술', 7년 만에 처벌에 성공했습니다'유령 대리수술', 7년 만에 처벌에 성공했습니다 권대희사건 박호균 수술실CCTV 대법원 상고기각 권태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일 협상 실패' 윤석열 정부의 황당한 발언'대일 협상 실패' 윤석열 정부의 황당한 발언 강제징용 한일관계 현금화 노동자_강제동원 강제징용_공개토론회 김종성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의료진 30여명 8년만에 리비아 복귀…'대북제재 위반 소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내전 등에 따른 치안 문제로 2015년 리비아를 떠났던 북한 의료진 30여 명이 약 8년 만에 복귀한 것으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