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추억과 칼옹심이의 맛

문학 뉴스

어린 시절 추억과 칼옹심이의 맛
음식작품 개작헤밍웨이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76 sec. here
  • 10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8%
  • Publisher: 51%

작가는 작품 개작을 통해 알게 된 헤밍웨이의 200회 이상의 가필 수정에 대한 노력과 옛날 음식에 대한 추억을 나누고 있다.

예로부터 헌 집 고치기가 새 집을 짓는 것보다 훨씬 더 힘들다고 한다. 나는 목수가 아니라서 그 고충은 잘 모르겠으나 작가로 일단 완성한 작품을 두어 번 개작해 보았는데, 앞의 말이 절감됐다. 내가 인생 역작으로 쓴 은 무척 고심하면서 탈고한 뒤 출판하였다. 그 작품집 후기 첫 문장은'나는 이 한 편을 쓰고자 76년을 살아왔다'라고 썼다. 하지만 작품집을 출간한 지 몇 년이 지났지만 소기의 목표에 이르지 못하여 평생을 작가로 살겠다는 내 애초의 꿈과 각오가 무참하게 허물어진 것 같아 최근 오랫동안 우울증 속에 살았다. 그런 가운데 내가 평소 좋아했던 미국의 행동주의 작가 헤밍웨이 의 를 읽은 뒤 그 해설을 보는데 다음 문장에 눈이 번쩍 띄었다. '는 1952년 '라이프' 지 9월 1일 호에 게재되어, 9월 8일 '스크립너'사에 의해 출판되었다. 헤밍웨이 의 말을 빌리면, '200회 이상이나 되풀이해 읽고 가필 수정한 끝에 드디어 1년 후에 완성, 발표했다고 한다.

' -'동서문화사' 발간 세계문학전집 19권 653쪽 뭐! 200회 이상이나 되풀이해 읽고 가필 수정했다고!!! 그런데 나는 몇 번이나 제대로 읽고 가필 수정을 했던가? 새삼 그 기억을 더듬자 200회의 1/10도 되풀이해 읽지 않고 탈고 출판했다. 그 순간 다시 개작 하고픈 욕구가 불같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지난해 여름부터 작품을 모두 해체한 뒤 다시 읽어가면서 한 땀 한 땀 바느질하듯 가필 수정, 그 작업이 지난 해 연말에야 마무리됐다. 그러자 허전하기 짝이 없었다. 허탈하기도 하고, 입맛조차 없었다. 이런 나를 멀리서 망원경으로 바라본 듯, 이웃에 사는 원주 시 문화관광해설사가 점심을 사겠단다. 아마도 지난 해 원주의 명승지 소금산 출렁다리 관람 후 내가 밥을 산 데 대한 답례인가 보다. '강원도 감자 바위' 유래 그분이 안내한 곳은 원주 시내 금대리 들머리의 한 막국수 집이었다. 그 집의 여러 메뉴 가운데 주 메뉴인 칼옹심이를 주문하자 곧 뚝배기 항아리 그릇에 칼 옹심이 메밀국수가 나왔다. 앞자리의 문화관광해설사는 강원도 토박이로, 그 음식에 대한 자상한 해설을 했다. 지난날은 우리나라 대부분 가정은 양식이 몹시 귀했다. 특히 봄철에는 보릿고개, 곧 '춘궁기'라 하여, 쌀로 세 끼 밥을 지어 먹는 집이 거의 없었다. 그리하여 '강원도 감자 바위', '경상도 보리 문둥이'라는 말도 생겨났다. 강원도 지방에서는 감자를 주식으로, 경상도 지방에서는 보리밥을 많이 먹었다는 말이다. 그 얘기를 듣고 보니 나도 어린 시절 고향 경상도 구미에서 보리밥을 진저리 나게 먹었다. 그 무렵 우리 고향에서는 딸아이일 경우, 쌀 한 말 먹지 못하고 시집을 간다고 할 만큼, 양식 특히 쌀이 몹시 귀했다. 그래서 그 대용 '부황 음식'으로 국시, 수제비, 무밥 콩나물밥 등을 물리도록 먹으면서 자랐다. 부황(浮黃)이란'오래 굶주려서 살 가죽이 들떠서 붓고 피부가 누렇게 되는 병'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 시절은 정말로 부녀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그랬다. 내 초등학교 시절 학급의 가난한 친구 집에 가보면 벽을 긁은 자국을 볼 수 있었는데, 배가 너무나 고픈 나머지 숟가락으로 벽의 흙을 긁어 먹었기에 그렇다고 그랬다. 강원도 지방에서는 부황 음식으로 주로 감자를 많이 먹었단다. 내가 군에서 전역을 한 뒤 동원 예비군 훈련으로 강원도 지방 군 부대로 가서 부대 인근 집에서 민박을 하면, 그 시절에도 밥그릇 2/3 정도는 감자가 나왔다. 강원도에서는 감자 아니면, 부황식으로 곤드레 나물밥이었다고 하는데, 이즈음은 감자옹심이나 곤드레 나물밥은 별식으로 귀한 대접을 받는단다. 그날 밥상 위로 나온 칼옹심이 메밀 막국수를 한 술 입에 넣자 그 구수하고 담백한 맛이 금세 입맛을 돋우었다. 내가 아주 맛있게 옹심이와 메밀 칼국수 맛에 찬사하며 먹자 관광해설사는 그 조리법을 자상히 일러 주었다. 1. 감자를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긴 다음, 강판에 간다. 2. 그걸 자루에 넣어 거른다. 3. 그 자루의 건더기와 강판의 앙금으로 반죽을 한다. 4, 그 반죽으로 새알을 만든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음식 작품 개작 헤밍웨이 칼옹심이 곤드레 나물밥 부황 감자 바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바이올리니스트 사라장, 성공은 자유라는 솔직한 고백바이올리니스트 사라장, 성공은 자유라는 솔직한 고백바이올리니스트 사라장의 어린 시절 데뷔 이야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와 행복을 찾은 현재를 그린 기사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난 속서예, 삶을 향한 끊임없는 열정가난 속서예, 삶을 향한 끊임없는 열정어린 시절 가난과 학교에 가기 어려웠던 경험을 딛고 서예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이야기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두환, 가난한 어린 시절과 처가살이 8년전두환, 가난한 어린 시절과 처가살이 8년전두환 전 대통령의 어린 시절 가난과 가족의 어려움, 그리고 처가살이에 대한 회고록 내용을 소개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상훈, 20년 수집품으로 토이뮤지엄 오픈이상훈, 20년 수집품으로 토이뮤지엄 오픈개그맨 이상훈이 수원역 AK플라자 5층에 '이상훈 토이뮤지엄'을 오픈했습니다. 단순한 장난감 전시를 넘어, 어린 시절의 추억과 장난감 문화의 역사적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모 간 폭력 목격한 아이, 장년기 심혈관 질환 위험 36%↑''부모 간 폭력 목격한 아이, 장년기 심혈관 질환 위험 36%↑'(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어린 시절 부모가 상대를 때리는 모습을 본 사람은 그런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중장년기 심혈관 질환(CVD)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딸기시루 줄서 기다림, 겨울 추억딸기시루 줄서 기다림, 겨울 추억소녀를 따라 성심당 딸기시루를 구매하며 기다림 속에서 쌓인 추억과 함께해 겨울을 닮은 특별한 맛에 감동한 기사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01:3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