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많이 본 '신제품'?…삼성 · LG 베낀 중국 기업 SBS뉴스
중국 기업들의 카피 열풍, 어느 정도인지 보시죠.여기 보이는 하이센스가 기사에 나오는 바로 그 기업 중 하나입니다.근데 이거 보이세요? 이게 하이센스에서 만든 액자형 TV M1 시리즈라고 하는 건데, 아무리 봐도 몇 년 전에 삼성에서 내놨던 더 프레임이랑 컨셉이 너무 흡사해요.이건 뭐 대놓고 같은 라인업이죠? 기업들 경쟁에서 잘 나가는 기업 제품 컨셉을 베껴다가 비슷한 걸 만드는 건 흔한 일이니까 넘어갈 수 있는 거 아니냐 싶다가도.참고로 이 회사는 재작년인가? 언럭키 롤러블 TV를 공개한 바 있는데 여기에 나오는 초단초점 프로젝터 관련 기술력은 좀 인정하겠어요.그리고 이 기업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기업의 디자인이나 기술을 따라 하기로 유명한 기업이 하나 더 있는데 바로 이 TCL이라는 기업입니다.
참고로 이 기업은 LG측에서 몇 가지 영역에 대해 특허 소송까지 냈던 전적이 있던 회사인데도 보이세요? 세탁기랑 건조기가 하나로 붙여놓은 제품이랑, 이건 의류 관리기라는 건데 사실 보면은 떠오르는 제품이 있죠.LG쪽 설명에 따르면 건조기와 세탁기는 진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동시에 작용하면 진동이 겹쳐지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대요.근데 이렇게 생각해 보면 중국 기업들은 일단 히트만 치면 겉모양만 따라서 제품을 비슷하게 만들어내려고 노력한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이건 그냥 겉모양만 따라 해서 중국 내수용으로 출시해 버리게 되니까 중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LG나 삼성의 제품이 너무 비싸 보이는 이미지를 뒤집어쓰게 된대요.
현재 중국에서는 '궈차오'라 해서 품질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라온 자국산 제품을 주로 이용하고 뭐 비싼 외산, 특히 한국산을 쓰는 것이 과소비다라는 인식이 서서히 자리 잡고 있다고 하는데, 애당초 그게 왜 싼 건지에 대해서는 인지를 하는 건지 안 하는지 아쉽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日, 韓정부 강제징용 해법안에 '현실적'...현안 산적정부, 재단 통한 징용피해 배상금 지급안 공식화 / '일본 기업, 판결금 지급 재단에 기부방안 부상' / '구상권 포기하면 기업 기부는 판결 수용 아냐' / 기부 기업에 전범 기업 포함되는지는 불투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피해자 눈물 못 닦은 외교부 '강제동원 배상금 먼저'외교부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의 해법을 '제3자를 통한 대위변제'로 결론 내렸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조전임자 임금, 한국만 회사가 준다?' 전순옥 발언 '사실반 거짓반''노조전임자 임금, 한국만 회사가 준다?' 전순옥 발언 '사실반 거짓반' 전순옥 산별노조 노조전임자 타임오프제도 근로시간면제제도 김시연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호강 본격 개발 위해 설계용역 착수금호강 본격 개발 위해 설계용역 착수 금호강 디아크 선도사업 동촌유원지 국가생태탐방로 조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롯데 '中 선양 복합타운, 중국 국유기업에 매각 합의' | 연합뉴스(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롯데그룹은 중국 랴오닝성 선양 복합타운을 중국 국유기업에 매각하기로 합의, 매각 대금 산정 등을 위한 실사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