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의 시대 사회 공정 대한민국 정의 김대성 기자
필자가 보기에는 ''라는 말이 어울리는 것 같다. 왜 인 것일까? 시간이 갈수록 사회는 점점 범죄와 사기가 만연해지고 사람들의 삶은 궁핍해져 간다. 청년 실업률은 증가하고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는 심해져 간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배우는 교육에는 철학과 윤리가 없다. 더불어 창의성을 없애는 주입식 교육과 성적으로 등급을 매김으로써 경쟁심리만 부추기고 있다. 무한경쟁시대와 교육 … 말은 좋다. 하지만 실상은 너를 밟고 올라서야 내가 산다는 교육. 괴물이 만들고 괴물들이 가르쳐서 괴물을 양산해 내는 시스템인 것이다.건강하지 못한 생각과 행동이 유행처럼 번지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알아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에 대해서 사유하려는 노력이 사라져 간다. 오로지 눈과 귀만 즐거우면 되는 것이다. 순수함은 사라지고 어느새 육체적 쾌락만을 추구하며 마약과 유흥에 취해서 살아간다. 지금 보면 딱 이 말이 맞는 것 같다. 현재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층에게 국익 따위는 없다. 애국심도 없다. 그저 이익에 따라 이념에 따라 그리고 일관된 입장 없이 정세에 따라 A가 되기도 하고 B가 되기도 한다.
학력이 되고 자격증이 있으면 고급노예, 학력이 안되고 자격증이 없으면 폐급노예. 불확실한 미래와 빠르게 변해가는 정세에 대응하지 못하는 집단사고와 관료주의. 정의는 죽었고 불의는 살아있는 이상한 사회. 올바른 정의 그리고 상식과 공정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부의 재분배가 필요하다. 또한 능력주의로 인해 견고해진 엘리트와 기득권을 타파하고 새로운 능력주의를 만들어가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개인이 마땅히 누려야 할 자유와 최소한의 기본적인 권리도 대의라는 이유로 번번이 무시당하기 일쑤다. 마땅히 대의를 지키기 위해서 개인이 지켜야 할 부분도 있지만 국가와 사회가 잘못된 시스템을 점검하고 돌아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국가와 사회가 해결해야 될 문제를 언제까지 개인과 가족에게 떠넘길 것인가?
끝으로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의 노력을 뜻한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회질서와 공정, 정의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바꿔나가는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기자의 브런치스토리에도 게시되는 글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YTN 탐사보고서 기록] 강제동원-피해자 없는 시대[앵커]일제 강제동원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2018년 대법원 판결은 정부의 외면 속에 피해자들과 일본의 시민사회가 함께 싸워 이뤄낸 결과였습니다.패소를 거듭하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스스로 아픈 역사의 증인이 되어 변화를 이끈 26년 법정 투쟁의 과정, 신호 기자가 조명했습니다.[기자]1992년 광주 대동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자 전성기’가 불편한 그들…양자경 일침은 그래서 옳다 | 중앙일보'여성들이여, 누구든지 당신에게 전성기가 지났다고 말하게 두지 마세요'\r양자경 양쯔충 오스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 1천만명 본다는 콘텐츠 불법 공유 사이트가 수사 시작되자 밝힌 입장과기정통부도 이 사이트 막기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다고!! ** 소액후원으로 민중의소리에 힘을! 전화 1661-0451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난치다 넘어져도 학폭…''더 글로리'는 쉬워요' 변호사 한숨 | 중앙일보변호사는 학교폭력의 정의가 지나치게 넓다는 점을 한 원인으로 꼽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28민주운동 63주년 기념식 '자유를 그리다'2.28민주운동 63주년 기념식 '자유를 그리다' 2.28민주운동 한덕수 2.28기념탑 조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