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향]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이 확정된 후, 일본에서 가장 화제가 되는 것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5분 전화 회담’이...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이 확정된 후, 일본에서 가장 화제가 되는 것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5분 전화 회담’이다. 통역을 제외하면 인사만 하고 끝난 것이다. 여기서 고인이 된 아베 신조가 다시 소환되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2016년 11월, 당시 아베 신조 총리가 골프채를 들고 취임 전 트럼프의 집을 방문해 친목을 다진 사례가 전설처럼 회자한다. 이시바도 당면한 G20 회의를 즈음해 트럼프와의 회담을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시인처럼 말하는 정치인’으로 정평이 난 이시바를 트럼프의 거친 리더십이 상대해 줄까? 일본 여론과 오피니언 리더들의 반응은 부정적이다. 북·미 정상회담의 부활과 미·중 무역전쟁 재연이 키워드로 부상한 한국과 중국의 분위기와는 온도 차가 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을 둘러싼 협상 또한 일본에 난제다. 일본의 자동차 등 제조업계는 이미 손실을 각오하고 있다. 나아가 일본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관세장벽으로 인한 미국 국내 인플레이션의 지속 또는 상승이 달러의 강세와 엔화의 약세를 지속시킬 것이고, 이는 곧 일본 국내의 물가 상승을 가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민당이 지난 총선에서 참패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한 것이었다. 현재 소비세를 비롯한 감세를 주장한 정당들이 의석수를 확대한 상황이다. 이시바 내각은 트럼프의 귀환으로 이중의 재정압박을 받게 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프라보워 인니 대통령 취임...“영양실조·실업 등 문제 해결할 것”위도도 대통령 장남도 부통령 취임 내년부터 8300만명 무상급식 실시 “재정 건전성에 악영향” 우려 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野, 독립이사·집중투표제 강화 … 재계 '외국자본 기업 장악할것'14일 상법 개정안 당론채택금투세 폐지 결정후 드라이브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명분소액주주의 권리 강화에 방점대주주 영향력 약화 불가피해野, 배임죄완화 등 보완책 검토대통령실 '소송남발로 인해기업 활동 위축할 우려 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등 돌리는 TK '부동산 시장도 고사 직전'尹 대구·경북 지지율 급락10월 5주 TK 긍정평가 18%두 달전 37%서 반토막'지방 부동산·신공항 등내세울 성과 하나도 없다''보수의 심장' 지지 썰물에지역 의원들 말 아꼈지만당내 '보수기반 약화'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짜 최저임금을 42%나 올려준다고?”…20년 넘게 묶였던 ‘이 나라’ 총선 앞두고 포퓰리즘 공약총선 앞두고 주요 정당 공약으로 ‘최저임금 1500엔 5년내 달성’ 日최저임금 선진국 최저수준 20년 넘게 임금 수준 그대로 격차해소 위해 인상 공감대 불구 현실적 논의 빠진 공약에 우려 제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또 여론 눈치본 정부 '손쉬운 선택'… 전기료 호갱 된 韓주력산업전기료 포퓰리즘 인상 반복기업용 요금 7차례 올릴 때가정용은 5차례 인상에 그쳐인상폭 kWh당 30원 더 올라산업용 공급원가 가장 낮아원가 회수율 100% 넘는데이번에도 '기업만 더 내라'전력사용 상위 수출기업 포진비용부담에 경쟁력 발목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비단’ 출범···연내 서비스 시작귀금속·원자재 토큰화 블록체인서 거래 누적거래 1조 넘는 ‘센골드’ 인수로 탄력 일본·싱가포르 등 아시아 5개 거래소와 동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