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민 | 농협중앙회 미래전략연구소장 “쌀은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이루는 처음과 끝이다.” 소설가 공선옥의 음식 산문집 ‘행복한 만찬’의 한 구절이다. 저자는 쌀은 단순히 입안으로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며, 우리의 몸을 이루고 정신을 이룬다고 말
“쌀은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이루는 처음과 끝이다.” 소설가 공선옥의 음식 산문집 ‘행복한 만찬’의 한 구절이다. 저자는 쌀은 단순히 입안으로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며, 우리의 몸을 이루고 정신을 이룬다고 말한다. 이처럼 우리 민족에게 쌀이 주는 의미는 각별하다. 하지만 이런 말이 무색하게도 지난해 기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으로 30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쌀은 식량 안보의 보루이자, 농촌 경제를 지탱하는 근간이다. 우리는 1977년 쌀 자급을 달성한 이후에도 1980년, 1993년, 1995년의 흉작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냉해로 쌀 자급률이 66.2%까지 곤두박질쳤던 1980년, 비싼 가격으로도 쌀을 구하지 못한 뼈아픈 경험이 있다.최근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글로벌 식량 위기에 직면한 많은 국가에서 식량 안보 문제가 이슈가 되었다. 그나마 우리나라가 받은 충격이 작았던 것은 우리는 주식인 쌀을 자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 감소로 위기에 처한 쌀이 계속 식량 안보를 지키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버팀목 역할을 이어나갈 수 있을까?
우리와 식문화가 유사한 일본도 주식용 쌀 소비가 감소하면서 수급 불균형에 직면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쌀 가공식품 개발과 수출 확대를 계속 시도해 왔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본의 쌀 가공품 수출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물량 기준 연평균 4.1%, 금액 기준 연평균 14.3% 성장했다. 특히 술과 즉석밥이 금액 기준 연평균 각각 15.1%, 18.9% 증가했다. 동일 물량의 주식용 쌀과 부가가치를 비교하면 술은 10배, 즉석밥도 5배나 높다. 쌀 가공산업 활성화를 통한 전후방 연관 효과를 고려하면 일본의 쌀 가공식품 수출을 통한 쌀 소비 확대 전략은 우리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우리나라의 가공용 쌀 소비량은 2022년 기준 1인당 평균 11㎏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쌀 가공산업 활성화를 통한 쌀 소비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지난해 우리나라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1724만달러로 전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한류 영향에 따른 케이-푸드의 인기에 발맞춰 냉동김밥과 즉석밥 등이 쌀 가공식품의 해외 수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런 성장세를 확장시켜 나가려면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시장뿐만 아니라 빠르게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신규 시장에 대한 맞춤형 수출 전략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영세한 국내 쌀 가공업체에 안정적인 원료곡 조달과 가공 기술 개발 등 체계적인 지원도 중요하다. 농협은 ‘범국민 쌀 소비 촉진 운동’의 일환으로 쌀 가공산업 활성화와 쌀 수출 확대에 매진하고 있다. 또한 ‘범국민 아침밥 먹기 운동’ 확산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국민 건강과 식량 안보를 모두 지키는 길에 국민적 관심과 동참이 필요하다. 나아가 우리 쌀로 만든 가공식품이 세계로 뻗어 나가 지구촌 사람들의 몸과 마음도 가득 채워주기를 바라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쌀 소비 줄어 정부 매입 늘어나는데 또 양곡법 외치는 野 [사설]정부가 올해 공공비축 쌀 45만t을 사들이기로 했다. 쌀 소비가 줄고 가격이 떨어지자 지난해보다 10% 정도 매입량을 늘렸다. 해마다 쌀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데 재배 면적을 줄이지 않고 정부 매입을 늘리는 정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더불어민주당은 한술 더 떠 정부의 쌀 의무 매입을 골자로 한 양곡법 개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농업 경쟁력이 약화되고 재정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소하는 쌀 소비…올해 소비량 역대 최소 우려(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식문화 변화로 국내 쌀 소비가 매년 감소하는 가운데 올해 소비량은 역대 가장 적은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짜 ‘국룰’이 무너지고 있다 [왜냐면]류승하 | 30대·서울특별시 은평구 ‘국룰’, 국민의 룰(규칙) 혹은 국가적인 룰의 줄임말이다. 국민 사이에 공통적이고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규칙이나 관습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이 공정하고 원활한 게임 진행을 위해 자체적인 규칙을 정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쌀 초과생산량 전량 매입·한우 사육제한…쌀·한우 대책 발표정부가 올해 수확기 쌀값 안정을 위해 초과생산량을 전량 매입하기로 했다. 한우 수급 안정을 위해 암소 1만 마리를 감축하는 등 사육 감축 대책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쌀 가격 하락 착잡해, 가루용 쌀 개발 보급 시급'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여든여덟 번 농부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아 정부와 농협은 8월 18일을 '쌀의 날'로 지정했다. 농민들의 노고에 감사하고 쌀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한 기념일이다. 우리 국민의 주식인 쌀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수확기를 앞둔 농민들은 지속되는 쌀 가격 하락에 마음이 무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업생산 석달째 뚝 깊어지는 침체 그늘반도체·車부진, 7월 0.4% 감소반짝 늘던 소비 다시 뒷걸음'금리 인하 시기 놓쳐' 지적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