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준봉 논설위원, 계엄 기적 막았지만 우리는 아직 허약하다.

뉴스 뉴스

신준봉 논설위원, 계엄 기적 막았지만 우리는 아직 허약하다.
계엄전당직군정치 중립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66 sec. here
  • 10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4%
  • Publisher: 53%

K팝 응원봉으로 국회 몰려간 시민들 덕분에 최악의 역사의 역주행을 기적처럼 막아냈지만, 계엄으로 인한 경제적·심리적 타격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

서울대 강원택 교수의 말대로 “그다지 기쁘지도 개운하지도 않다.” K팝 응원봉을 들고 국회로 몰려간 시민들의 맹활약 덕분에 최악의 역사 역주행을 기적처럼 막아낼 수 있었지만, 계엄 사태로 우리가 입은 경제적·심리적 타격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일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계엄-탄핵 2부작 구성의 이 실시간 역사 드라마는 인기 장르물의 서사 전략에 충실한 것 같다. 개명 천지에 어떻게,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보편에 호소하는 상식적인 궁금증이 블랙홀처럼 시청자를, 또 시민을 사로잡는 동력이다.먼저 대통령.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는 탄식이 줄을 잇는다. 알코올 중독, 그와 관계있을 법한 분노 조절 장애 등이 정치인으로서,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대통령의 파산을 설명하지만 충분치는 않은 것 같다. 돈키호테 같은 대통령 하나 잘못 뽑으면 앞으로도 비슷한 일이 반복된다는 얘기인가. 이유야 어찌 됐든 우리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부적격자를 가려내는 데 실패했다. 안심해도 좋을 검증 방법은 없나. 한 중견 출판사 대표는 최근 “보수 성향이긴 하지만 평소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던 원로 지식인 한 분이 부정 선거 음모론에 빠져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듣고 깜짝 놀랐다”고 털어놓았다. 믿는 구석이 있으니 대통령이 불법 계엄을 감행했다는 추정이다.

장군들은 왜 그랬을까. 육사 교장을 지낸 박남수 예비역 중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40여 년 전 계엄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 군이 그동안 얼마나 애써왔는데, 이번 사태로 인해 그간의 노력이 순식간에 물거품이 됐다”고 한탄했다. 상명하복에 철저할 수밖에 없는 군 조직의 특수성, 급박했던 계엄의 밤 상황은 정상참작 요소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장군들의 계엄 가담에 대한 면죄부는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당장 군과 조직 생리가 비슷한 검찰 출신의 류혁 전 법무부 감찰관은 계엄 선포 직후 법무부 관련 회의 참석을 거부하고는 사표를 던지지 않았나. 계엄의 불법성에 대한 확신에 그치지 않고 실천에 옮긴 적극적인 항의다.

강원대 평화학과 이동기 교수는 “류혁 감찰관처럼 당장 뛰쳐나가지 못했다 하더라도 계엄이 불법이라고 판단했다면 전출이나 휴가를 신청하는 방식으로 가담을 모면하는 길이 얼마든지 있었다고 본다”고 했다. 결국 정무직으로 분류되는 중장 계급 이상 군 가담자들의 출세욕, 이참에 이득을 누려보겠다는 기회주의적 처신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참고로, 독일 연방군은 ‘제복을 입은 시민’을 지향한다고 한다. 국방부 홈페이지에 들어가 간단히 인터넷 번역기를 돌리는 것만으로 “독일 연방군은 무조건적인 복종을 알지 못한다” “제복을 입은 시민으로서 군인은 정치적으로 스스로를 교육할 의무가 있다” 등의 원칙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정치 교육이라는 게 정파성 교육이 아니라는 점은 불문가지다. 반대로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교육이다. 제복을 입은 군인이지만 시민이기도 하기 때문에, 공동체를 파괴하는 명령에 따르지 않을 권리를 교육한다는 것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계엄 전당직 군정치 중립 시민 민주화 군 동원 인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신준봉 논설위원, 계엄 사태와 함께 묻는 한국적 모더니티의 현실신준봉 논설위원, 계엄 사태와 함께 묻는 한국적 모더니티의 현실신준봉 논설위원은 최근 계엄 사태 이후 한국 사회의 정치적, 군사적 모습을 반성하며, 과거 계엄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물거품이 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갑작스러운 계엄 선포로 인한 경제적·심리적 타격과 국민들의 불법 행위 가담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며, 군인들의 출세욕과 기회주의적 처신을 비판한다. 특히, 독일 연방군의 '제복을 입은 시민'을 지향하는 원칙을 예시로 들어, 군인의 정치적 중립성 교육 강화 및 군과 조직 생리의 차이를 제기하며 민주화 기초 체력의 허약함을 지적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탄핵 투표 참여하겠다” 돌아서는 친한계…가결까지 딱 1표“탄핵 투표 참여하겠다” 돌아서는 친한계…가결까지 딱 1표진종오 “계엄·국힘 가치 훼손” 한지아 의원도 찬성으로 선회 정성국 등 아직 입장 못정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돌아서는 친한계 … 가결까지 딱 1표돌아서는 친한계 … 가결까지 딱 1표진종오 '계엄·국힘 가치 훼손'한지아 의원도 찬성으로 선회정성국 등 아직 입장 못정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 사태, '돈키호테' 대통령과 한국적 모더니티의 비동시성계엄 사태, '돈키호테' 대통령과 한국적 모더니티의 비동시성K팝 응원봉으로 막은 계엄 사태, 우리는 어떤 역사를 통해 극복할 수 있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국민의힘에 경고 “윤석열 내란에 동조하면 안 돼”민주당, 국민의힘에 경고 “윤석열 내란에 동조하면 안 돼”‘제2 계엄 없다’ 윤석열 담화에, 김민석 “국민들 계엄 트라우마로 떨고 있을 때 방탄뇌물 준비한 무서운 거짓말쟁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 트라우마 극복 노력 물거품: 군 동원 재발 막기 위한 정치·제도 개혁 필요계엄 트라우마 극복 노력 물거품: 군 동원 재발 막기 위한 정치·제도 개혁 필요신준봉 논설위원과 강원택 교수가 조언한 바대로, 계엄 사태로 인한 경제적·심리적 타격은 아직 명확히 알 수 없다. 시민들의 맹활약으로 역사적 위기를 극복했지만, 그 과정에서 드러난 군의 불법 행위와 정치적 중립성 부족은 심각한 문제이다. 우리는 민주화의 기초체력이 아직 부족하며, 군 동원 재발을 막기 위해 정치와 제도적 개혁이 필요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3 10:2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