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에 떨어진 눈·비의 40%가 식물을 통해 대기로 다시 들어간다고 합니다.\r식물 나무 물 에너지
지구 상에 존재하는 나무들이 토양에서 물을 빨아올리는 데 엄청난 에너지를 쏟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 양이 전 세계 수력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는 것이다.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산타 바버라 캠퍼스의 지리학과·생태학과 연구팀은 최근 '지구물리학 연구 저널: 생물지구과학 '에 발표한 논문에서 전 세계 나무가 뿌리에서 잎으로 수액을 상승시키는 데 쏟는 에너지가 연간 9.4페타와트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자이언트 세쿼이어 하루 2000L 끌어올려 지난해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킹스 캐년 국립공원의 레드우드 마운틴 그로브에서 자이언트 세쿼이아가 불에 탄 채 서있다. 키 100m가 넘는 자이언트 세쿼이아는 하루에 2000L의 물을 빨아올린다.AP=연합뉴스물은 목질부 도관을 통해 수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마찰이 생기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가 들어가는 '수액 상승 펌프'가 필요하다. 이 펌프는 기본적으로 잎의 증산작용을 통해 가동된다.
잎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증발 작용인 증산작용은 기본적으로 태양 복사와 장파 복사 등의 에너지에 의해 일어난다. 이에 비해 물을 끌어올리는 힘은 반달세포의 장력과 모세관의 힘, 물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 등에서 나온다.키가 100m가 넘는 거대한 자이언트 세쿼이어의 경우 증산 작용을 위해 매일 2000 L에 이르는 물을 잎으로 보낸다. 연구팀은 전 세계 나무에서 '수액 상승 펌프'에 쏟는 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종합했다. 먼저 잎의 면적 당 전도도를 파악해야 했는데, 534종의 식물에 대한 전도도 측정값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했다.연구팀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산림지역에서는 수액 상승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당 0.06W이고, 산림이 없는 초목지역에서는 0.003 W/㎡라고 추산했다.
세계 산림이 수액 상승에 쏟는 에너지는 중간값으로 연간 9.4PWh이지만, 최대치로는 연간 140PWh에 이른다. 최대치 기준으로는 인류가 전 세계에서 연간 생산하는 전체 전력량 173PWh에 근접한다.연구팀은 또 수액 상승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얻는 에너지의 14.2%에 해당하는 것으로 계산했다. 온대우림에서는 이 비율이 18%로 늘어났다. 연구팀은"나무의 수액 상응 에너지 확보에서 기후와 식물 생리는 중요한 조절자 역할을 한다"며"열대 습윤 삼림에서는 증산에 많은 에너지기 들어가지만, 잎이 넓은 상록 활엽수여서 이런 에너지 수요를 완화시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사람의 심장이 뛰는 데는 별도의 대사 에너지가 필요한 것처럼 식물도 물을 끌어올리는 데 에너지가 필요하다"며"아직 계산에서 불확실성이 상당히 남아있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귀성길 고속도로 정체 본격화…서울→부산 6시간 10분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8일 오후 귀성 차량이 몰리면서 고속도로 정체가 본격화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들 낳아봐야 소용없다'는 이 말, 부모 수발에는 맞다가족 요양보호사 비율을 조사해 보니 \r딸이 40.6%로 1위, 아내가 29%로 2위, \r며느리가 15%로 3위였습니다.\r부모 자식 딸 아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간발의 차 목숨잃은 아내…남편은 주차장 앞 애타게 손짓했다'아내를 못 구했다는 죄책감으로 자책하고 계신다'\r태풍 힌남노 지하주차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