숄츠 '러 성공 허용 안돼…우크라 지원형태는 韓 스스로 결정'
이율 특파원=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19일 러시아의 침공에 따른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 전세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원정 전쟁' 성공을 허용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독일 정부 제공=연합뉴스]
오는 21일 독일 총리로서 13년 만에 방한해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둔 그는 연합뉴스와 서면 인터뷰에서 무기 공급과 관련해 한국 측의 입장변화를 희망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숄츠 총리는"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은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했다. 유엔헌장의 주요 원칙을 간과하는 이는 국제질서의 근본을 베어 넘어뜨리는 격"이라며"전 세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신제국주의적 원정 전쟁이 성공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이어"한국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동참하고 우크라이나를 인도적으로 지원하는 데 대해 감사한다"고 평가한 뒤"모든 국가는 어떤 형태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할지 스스로 결정한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놨다.
앞서 독일 정부 당국자는 지난 11일 브리핑에서 한독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도 의제가 되느냐는 질문에"한국은 러시아에 대한 국제제재에 동참하고 있지만 직접적으로 무기 지원은 하지 않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의 스탠스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직접적으로 무기 지원을 압박하기보다는 윤 대통령이 이 문제와 관련해 어떤 할 말이 있는지 주의 깊게 들어볼 계획"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독일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방문 전날인 지난 13일 우크라이나에 전차와 장갑차 50대, 대공방위시스템 등 4조원에 육박하는 무기 패키지를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우크라이나 전쟁 개시 이후 독일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규모는 2배 가까이 늘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가 됐다.
당초 분쟁지역에 살상 무기를 공급하는 데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여온 독일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실화하자 태도를 180도 급선회하고 대전차 무기 1천정과 군용기 격추를 위한 휴대용 적외선 유도 지대공미사일 스팅어 500기를 보내는 등 우크라이나에 무기 공급을 개시했다. 이후에도 독일은 중화기와 지뢰, 대전차무기, 대공무기에 이어 장갑차와 주력전차 지원에 이르기까지 처음에는 신중한 태도로 일관해 서방 동맹국들의 비판을 받았지만, 결국에는 미국에 이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가장 많이 보낸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일문일답] 숄츠 '韓, 혁신적 반도체 주체들 보유…獨 투자 모든 기업 환영' | 연합뉴스(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19일 '독일과 유럽에서 지속 가능한 첨단 반도체 연구개발과 디자인, 생산능력을 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 육해공 총동원해 미사일 공습…우크라 '30발 중 29발 격추'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우크라이나의 대반격 준비 속에 러시아가 주요 도시를 겨냥한 미사일 몰아치기를 강행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우크라, 흑해 곡물운송 유지…중단위기 딛고 2개월 연장(종합) | 연합뉴스(이스탄불·서울=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유철종 기자=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도 흑해를 통한 곡물 수출이 가능하게 한 흑해 곡물 협정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탄핵 위기' 에콰도르 대통령, 국회 전격 해산…정국 대격랑 | 연합뉴스(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탄핵 위기에 몰린 에콰도르 대통령이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국회를 해산하는 권한을 전격 발동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종호 '누리호·다누리 성공, 코로나로 지친 국민께 희망'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대한민국의 새로운 변화와 성장을 이끌 기틀을 마련하는 데 주력한 1년이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국무, '의회모독' 추궁에 아프간철군반대 외교전문 회람 허용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미국 의회 모독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하원의 '위협'에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지난 2021년 8월 아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