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한국 커피 시장의 변화: 캔커피의 등장과 성장

FOOD & DRINK 뉴스

1990년대 한국 커피 시장의 변화: 캔커피의 등장과 성장
커피캔커피한국 커피 문화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76 sec. here
  • 10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8%
  • Publisher: 51%

1990년대 초반, 한국 커피 시장은 캔커피의 등장과 급성장으로 변화를 겪었습니다. 동서식품의 맥스웰하우스 캔커피, 롯데칠성음료의 레쓰비, 그리고 코카콜라와 네슬레 합작 기업 CCNR의 네스카페가 시장 점유율을 높이면서 캔커피 열풍을 이끌었고, 이는 한국 커피 문화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낯선 노래 하나로 혜성처럼 등장한 세 명의 청년이 우리나라 청소년 문화의 흐름을 하루아침에 바꾸어 놓았다. 1992년에 '난 알아요'를 발표하며 등장한 힙합댄스그룹 서태지와 아이들이다. 이들이 일으킨 작은 물결이 한 세대 후 K-pop이라는 이름의 거대한 파도가 되어 세계인의 귀와 눈을 사로잡고 있다. 서태지가 등장했던 1992년은 우리나라 커피의 역사에서 카푸치노가 신문 광고에 첫선을 보인 해로 기억된다. 카푸치노(Cappuccino)는 에스프레소 위에 우유 거품을 얹은 커피로, 카페라테보다는 우유의 양이 적은 것이 보통이다. 대부분의 카페 메뉴에 올라 있는 인기 제품이다. 1988년경 새로 등장한 '쟈뎅'과 '도토루' 등 신형 카페의 메뉴에 올랐지만,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는 않았다. 그런데 1992년에 한국네슬레가 ' 네스카페 카푸치노'를 신제품으로 출시하며 대대적인 신문 광고를 시작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당시 신문 광고의 카피는 '커피의 새로운 패션, 이탈리안 패션의 커피, 네스카페 카푸치노'였다. 네스카페 카푸치노 한 봉지를 뜯어 커피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으며 가볍게 저어주면 카푸치노를 즐길 수 있는 제품이었다. 일종의 믹스커피였던 셈인데 이 제품이 커피시장에 끼친 영향은 생각만큼 크지는 않았다. 캔커피 열풍의 시작 카푸치노가 등장했던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로 초 커피 시장의 지각변동을 주도했던 것은 캔커피였다. 액체로 된 커피를 캔에 넣어 판매하는 제품을 말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화된 인스턴트커피의 유행과 함께 커피도 병에 넣어 판매하는 시대가 열렸다. 그런데 병커피는 불편했다. 오프너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잠시 유행했던 병커피는 1960년대 들어 캔음료로 진화하였다. 특히 1962년에 이지 오픈 엔드, 즉 캔 상부에 있는 작은 고리에 손가락을 넣고 한 바퀴 돌리면 캔이 열리는 방식이 등장하면서 캔음료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병커피는 사라지고 캔커피가 속속 등장하였다. 특히 자동판매기에서 판매하기에 적합하다는 이점 때문에 잠시 유행하였다. 그러나 캔커피의 유행은 오래가지 못했다. 맛이 문제였다. 유럽과 북미 커피 애호가들의 입맛에 캔커피는 맛과 향이 부족하였던 것이다. 캔커피의 유행을 가져온 것은 일본의 우에시마커피(UCC)였다. 1969년 UCC에서 캔커피를 발매하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일본에서의 자동판매기 유행이 가져온 결과이기도 였다. 1975년에는 일본 코카콜라에서 조지아라는 캔커피를 출시하면서 시장점유율을 점차 늘려가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초반에 이르자 캔커피가 음료 시장의 30% 이상을 점유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UCC의 영향으로 1977년에 씨스코에서 타임커피라는 브랜드의 캔커피를 출시했지만,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캔커피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등장한 것은 1986년이었다. 당시 국내 커피 시장의 최강자였던 동서식품이 맥스웰하우스 캔커피를 내놓은 것이 계기였다. 대대적인 광고를 타고 캔에 담긴 맥스웰커피와 맥스웰카페오레는 커피자판기와 식품점 매장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음료가 되었다. 캔커피가 이른바 '신세대 음료'로 불리며 폭발적인 성장을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반이었다. 1990년에 비해 1991년에는 118%의 성장을 보이더니, 1992년에 들어서도 80% 가까운 성장을 지속하였다. 캔커피 소비의 확대는 두 개의 도전자 덕분이었다. 1991년에 등장한 롯데칠성음료가 내놓은 '레쓰비,' 그리고 같은 해에 등장한 코카콜라와 네슬레 합작 기업 CCNR이 내놓은 '네스카페'가 주인공이다. 동서식품의 아성에 도전장을 내민 이 두 기업의 공격적인 마케팅 덕분에 캔커피의 인기는 폭발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었다. 1992년 들어 캔커피 시장은 이들의 3파전으로 뜨거웠다. 이 중에서 롯데칠성음료의 '레쓰비'는 콜롬비아 원두커피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킨 것이 소비자들의 취향을 사로잡는데 성공한 요인이었다. '네스카페'는 부드러운 커피 맛을 강조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갔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커피 캔커피 한국 커피 문화 1990년대 음료 시장 레쓰비 네스카페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991년 맥심 모카골드 광고 문구: 부드러운 커피 시대의 도래1991년 맥심 모카골드 광고 문구: 부드러운 커피 시대의 도래1991년 윤석화의 맥심 모카골드 광고는 커피 시장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 시기는 다방의 쇠퇴와 커피전문점과 자판기의 등장으로 커피 시장의 새로운 변화를 경험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JP모간자산운용 전문가들, '머니랩 라운드테이블'서 한국 증시 긍정 평가JP모간자산운용 전문가들, '머니랩 라운드테이블'서 한국 증시 긍정 평가중앙일보의 '머니랩 라운드테이블'에서 JP모간자산운용 전문가들은 미국 빅테크의 성장 잠재력과 한국 증시의 매력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또한 내년 한국 증시에 기대할 만한 요인들이 있다고 봤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앙일보 머니랩, JP모간체이스 전문가들과 월스트리트 투자전략 논의중앙일보 머니랩, JP모간체이스 전문가들과 월스트리트 투자전략 논의중앙일보 머니랩은 JP모간자산운용의 전문가들과 함께 미국과 한국 증시에 대한 전망을 논의했습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의 성장 여부와 한국 증시의 저평가 이유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당선 이후 비트코인 ETF 시장의 높은 성장트럼프 당선 이후 비트코인 ETF 시장의 높은 성장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이 활기를 띠며, 미국 ETF 시장에서도 비트코인 관련 펀드에 대한 투자가 크게 증가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와 이더리움 현물 ETF로 82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관련 ETF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이에 따라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관련 ETF, 그리고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ETF 시장에서도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관련 자금 유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혼다·닛산, 경영 통합… 세계 자동차 시장 패러다임 변화 속 미래차 승부혼다·닛산, 경영 통합… 세계 자동차 시장 패러다임 변화 속 미래차 승부혼다와 닛산 자동차가 경영 통합을 결정하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변화 속에서 미래 차 전쟁에 대비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0 04:5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