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조 클럽’에 머물렀던 롯데백화점 잠실점(2조7569억원)은 올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이어 역대 2번째로 ‘3조 클럽’에 가입했다. 지난해 3조1025억원으로 백화점 단일 점포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지난달 연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한국유통학회장을 맡고 있는 이동일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소비가 전반적으로 위축됐지만 그 안에서 동시에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라며 '백화점 업계는 핵심 점포의 프리미엄 전략을 강화하면서 매출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 백화점 잠실점 전경. 소비 심리 위축에도 전국 백화점 주요 점포는 조 단위 매출을 기록하는 등 백화점 양극화 가 나타나고 있다. 롯데 백화점 은 지난 25일 기준 연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진 롯데 백화점
26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3사의 전국 60개 점포 가운데 올해 1조원 이상 매출을 기록한 곳은 11곳이다. 지난해 ‘2조 클럽’에 머물렀던 롯데백화점 잠실점은 올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이어 역대 2번째로 ‘3조 클럽’에 가입했다. 롯데백화점 본점과 신세계백화점 부산 센텀시티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조 클럽을 유지했다. 현대백화점 판교점 등 7개 점포도 2년 연속 1조원대 매출을 기록했다.‘3조 클럽’ 합류한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잠실점은 지난 25일 기준 누적 연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잠실점의 성장 동력은 전망대·놀이공원·호텔 등 인근 콘텐트 인프라와의 시너지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2021년 롯데자산개발로부터 월드몰을 넘겨받아 잠실에 영업면적 16만5290㎡ 이상의 복합 쇼핑 공간을 조성했다. 콘텐트 강화를 위해 지난 2022년부터 현재까지 100여개의 매장을 재단장하고, 600개 이상의 팝업스토어를 열기도 했다.
지난해 3조1025억원으로 백화점 단일 점포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지난달 연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보다 1달 가량 빨리 3조원을 달성했다. 강남점의 경쟁력은 두터운 우수고객층이다. 연 1000만원 이상 소비하는 VIP 매출은 강남점 매출의 약 50%에 달한다. 강남점은 VIP 고객을 잡기 위해 지난 6월 럭셔리 복합 공간 ‘하우스 오브 신세계’를 열고 국내 최대 규모의 VIP 전용 개인 쇼핑 공간을 조성했다.
양극화 점포 신세계 롯데 현대 롯데 잠실점 신세계 강남점 구조조정 재단장 상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달, 2만 명 탑승객 돌파하며 3개월 만에 5억 원 매출 달성서울시는 여의도에서 운영 중인 관광용 가스 기구 '서울달'이 탑승객 2만 명을 돌파하며, 3개월 만에 매출 5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또한, 1800회 이상 무사고·안전 비행이라는 성과를 이루어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남더힐, 갤러리아포레… 서울 부자 아파트 리포트 분석서울 아파트 가구 소득, 소비 분석 결과, 한남더힐, 갤러리아포레 등 부촌 아파트 주민 소득·소비 압도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류비 급등에 관세 폭탄까지 … 수출 정점 찍고 내리막길LG전자 3분기 최대 매출 불구운임 폭등에 영업이익 -20%삼성전자도 물류비 직격탄작년에 비해 올해 1조 더 들어車생산·내수·수출 트리플 감소반도체는 中공세에 전전긍긍원자재 수입 많은 협력업체원화값 상승에 손실 눈동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날 추워질 때 안 사본 사람이 없다는데”…이 기업, 다시 1조 클럽 들었다유니클로 올 매장 10개 더 열어 히트텍·에어리즘 가성비 부각 한일관계 개선으로 매장 ‘북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으로 2조 4천억 매출 통합 LCC 탄생 예고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진에어, 에어서울, 에어부산이 통합되면 국내 최대 LCC로 등극할 것이며, 이로 인해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과의 3강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럭셔리 브랜드 절반 마이너스 성장, 소비자 '가성비' 민감해져불황과 고물가, 고금리로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명품 대신 가성비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불황형 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럭셔리 시장은 침체되어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