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뿌리산업과 민생경제 근간을 이루는 소공인이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3개년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주도 소공인 육성, 소공인 집적지 집중 육성, 소공인 경영부담 완화, 소공인 성장동력 확충 등 4개 전략 과제를 수립하고, 금융, 인력,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지역경제 핵심동력 되게끔 정책 지원 지속”
먼저 2027년까지 광역 지자체에 소공인 전담관리기관 10개를 선정해 소공인 육성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 중 우수 프로젝트에는 내년부터 3년간 판로개척, 스마트제조, 작업환경 개선에 중기부 소공인지원사업을 연계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소공인들이 겪는 금융과 인력 문제, 열악한 근로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관계부처·지자체·민간기업이 협력하기로 했다. 소공인 납품대금을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도록 매출채권 팩토링 규모를 확대하고, 미회수 납품대금을 보상받을 수 있는 민간 계약이행보증상품도 신설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방안 발표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병역특례요원 채용 기준이 완화되었다. 또한, 음식점 업무 범위 확대와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이 발표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근혜 탄핵국면땐 반등했는데”...‘계엄 쇼크’ 코스피 이번엔정치적 리스크 해소 전까지 증시 변동성 불가피 박근혜 당시, 탄핵 결정 후 증시 상승국면 진입 2016년 중소형주·제조업↑…트럼프 영향 “이번엔 정치·경제 여건 더 부정적, 하락 장기화 예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인일자리법 개정, 경로당 급식 인력 배치 우선 시행경로당 주 5일 점심 급식을 위한 인건비 지원 및 노인일자리 인력 배치 공통 기준 마련 필요성 지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제부총리, 한국 경제 '골든타임' 6개월 근간 경고최상목 경제부총리는 한국 경제가 앞으로 6개월간 어떤 대응을 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좌우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기업들과 함께 달리기 위해 정부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FINANCIAL 제휴사 칼럼] 제조업 집착이 경제 망칠 것1810년 미국 노동력은 무려 81%가 농업 종사자였고, 제조업과 서비스 종사자는 전체 노동 인구 중 각각 3%와 16%에 불과했다. 1950년이 되자 농업 종사자 비중은 12%로 감소했지만 제조업은 24%, 서비스는 64%로 크게 상승했다. 2020년 기준 서비스 비중은 91%, 농업과 제조업은 각각 2%와 8% 미만으로 전세가 역전됐다. 이는 현대 경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외교수장, 외신 기자간담회 통해 대외신뢰 회복 노력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인한 금융·외교 리스크에 대응하고 대외신뢰 회복 위해 경제·외교 부처 수장이 이례적으로 합동 외신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