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넘는 일본 언론, 호응하는 윤석열 정부 강제징용 한일관계 납치자_문제 납북자_문제 굴욕외교 김종성 기자
▲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한일 북핵수석대표협의에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에게 기념촬영을 위한 악수를 위해 손을 내밀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6일 강제징용 봉합을 위한 일본 협상 대표인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한국 외교부를 방문하고 돌아갔다. 그가 만나고 간 카운터파트는 강제징용 문제의 한국 협상 대표인 서민정 아시아태평양국장이 아니라, 작년 5월부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맡고 있는 김건 북핵수석대표다. 후나코시 국장도 일본 정부의 북핵수석대표를 겸하고 있다.6일 협의에서 김건 본부장과 후나코시 국장은 북핵과 대북 제재뿐 아니라 일본인 납치문제도 함께 논의했다.
일본 정부가 아무 수식어 없이 납치문제라고 표현하는 것은 당연히 일본인 납치문제다. 외무성 홈페이지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한 납치 피해자는 17명이다. 이 17명에 관한 사안을 매개로 대북 압박을 이어가는 문제가 6일 한일 협상에서 논의됐다. 이에 관련해 통일부가 3월 24일 배포한 두 건의 보도자료를 종합하면, 일본 방문에서 권 장관은 하야시 외무대신에게 통일부-외무성 사이의 협의 채널을 제안하고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에게는 통일부-내각관방 사이의 협의 채널을 제안했다. 통일부가 일본인 납치문제를 매개로 2개의 일본 정부 기관과 협의 채널을 갖고자 하는 것이다.
'반일 정치와 싸우는 윤씨'라는 대목은 일본을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윤 대통령의 실정을 반영한다.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국민적 울분과 맞서 싸우며 일본인 인권문제를 부각시키는 그를 보면서 일본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윤석열 정부가 통일부와 외교부를 앞세워 납치문제에 적극성을 보이는 지금의 국면은 반일 분위기를 한일 협력 분위기로 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점은 일본 언론의 보도에서도 나타난다. 위 사설은 납치문제를 국제이슈로 더욱 부각시키고 이를 매개로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일에 한국이 적극 나설 필요성을 주문하고 있다. 납치문제 부각이 한일 연대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데 유리하다고 보는 일본인들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965년에도 강제동원 관련 '개인청구권 유효' 한일 인식 일치?일본 정부 그리고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 우리 정부에서도 최근 주장하고 있는, 2018년 확정된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이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논리가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자료가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서 만난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해외 체류 북한 노동자 돌려보내야'서울서 만난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해외 체류 북한 노동자 돌려보내야' 북핵수석대표 성_김 후나코시_다케히로 김건 김도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與 지지율 침체 속 원내대표 선출…반등 계기되나국민의힘 원내대표 김학용 윤재옥 국민의힘이 7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친일매국'... 충북 퇴직교사 155명 시국선언'윤석열 정부 친일매국'... 충북 퇴직교사 155명 시국선언 충북인뉴스 충북인뉴스 최현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보란 듯' 법원, 미쓰비시 특허권 4건 압류'윤석열 정부 보란 듯' 법원, 미쓰비시 특허권 4건 압류 강제동원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김형호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산] 의회 갑질 논란, '회의 길어졌지만, 정상적 활동'[서산] 의회 갑질 논란, '회의 길어졌지만, 정상적 활동' 서산시의회 환경오염특별위원회 신영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