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보급률 93.6% 14년 만에 최저

뉴스 뉴스

서울 주택보급률 93.6% 14년 만에 최저
주택보급률서울공급부족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17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1%

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3.6%로 4년 연속 하락하며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인 가구 분화 등으로 가구 수가 증가하는 반면 주택 공급이 둔화되면서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서울의 주택보급률 이 93.6%로 4년 연속 하락했다. 1인 가구 분화 등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수가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주택 공급 부족 문제까지 겹친 탓이다. 12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를 보면 2023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 은 102.5%로 1년 새 0.4%포인트 올랐다. 주택보급률 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충분한지를 양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보급률이 102.5%라는 것은 전체 가구가 100가구라면 주택은 그보다 더 많은 102.5채가 있다는 뜻이다.문제는 서울의 주택보급률 이다. 이로 인해 2009년(93.1%)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가 됐다.주택 공급이 둔화되며 가구 수 분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 것이다.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 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9.3%), 인천(99.1%), 대전(96.4%) 4곳이다.전국에서 주택보급률 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3.1%)이며, 전남(112.

6%), 충남(111.7%), 충북(111.2%)이 뒤를 이었다.다가구·원룸을 쪼갠 쪽방과 반지하, 지하주택 등 주택 품질이 떨어지는 곳과 빈집도 주택 수에 포함된다. 이는 주택보급률을 실제보다 높아 보이게 할 수 있는 요인이다.반대로 오피스텔 등 준주택이 주택 수 산정에서 빠지는 점은 서울 같은 대도시의 주택보급률을 실제보다 낮출 수 있는 요인이다.정부가 그간 2022년 8·16대책, 2023년 9·26대책, 2024년 1·10대책과 8·8대책 등 네 차례의 공급 대책을 발표했으나 2026년을 전후로 공급 불안이 본격화하며 집값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주택보급률 서울 공급부족 가구수증가 주택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작년 주민등록 출생자수 전년比 3.1%↑ 24만2천명…9년만에 증가(종합)작년 주민등록 출생자수 전년比 3.1%↑ 24만2천명…9년만에 증가(종합)(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2024년 우리나라 출생(등록)자수가 9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삼성, 779일 만에 ‘S-더비’ 승리서울 삼성, 779일 만에 ‘S-더비’ 승리서울 삼성이 2년 만에 잠실 라이벌 서울 SK와의 ‘S-더비’에서 승리했다. 2022년 10월29일 이후 12연패 끝에 쟁취한 통한의 승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산율 14년 만에 최대 증가폭…결혼도 5년 만에 최고출산율 14년 만에 최대 증가폭…결혼도 5년 만에 최고전년 대비 출산율이 13% 증가하며 14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고, 결혼 건수 또한 5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출산율 반등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화값 '방파제' 외환보유액, 연말 기준 5년 최저원화값 '방파제' 외환보유액, 연말 기준 5년 최저트럼프발 강달러와 정국 불안 속 4100억달러 선 유지, 하지만 5년 최저 수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년 신선식품 물가 폭등, 14년 만에 최고 상승률2024년 신선식품 물가 폭등, 14년 만에 최고 상승률과일과 채소 등 신선식품 물가가 냉해, 고온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2024년 10.4% 상승하며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중반으로 전년보다 둔화 흐름을 보였지만, 고환율 영향으로 당분간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전망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화, 15년 9개월 만에 최저 1464.80원 대진원화, 15년 9개월 만에 최저 1464.80원 대진달러당 원화값이 급락하며, 2009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달러 강세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04: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