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수출, 제조업 수준으로...5년간 64조 금융 지원 기획재정부 서비스업 수출 K콘텐츠 조선혜 기자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서비스 수출 2000억 달러, 세계 10위'를 달성한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를 위해 정부는 K-콘텐츠 등 서비스업에 대해 2027년까지 총 약 64조 원의 수출 금융을 공급한다.
5일 정부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서비스산업발전 태스크포스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서비스 수출 정책·지원체계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기준 연 1302억 달러로 세계 15위 수준에 머물러 있는 서비스업 수출을 활성화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배경에서다. 우선 정부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한무역공사 등 주요 수출 지원 기관의 서비스업 지원 규모를 오는 2027년까지 50% 이상 확대한다. 기관별로 전년 대비 상향된 연간 지원 목표치를 설정하고, 지원 사업 참여 시 가점 부여, 참여 요건 완화 등 실현 방안을 마련한다.
제품 인증·시판매 지원 등 제조업 기준으로 지원 중인 사항을 서비스 분야에도 새롭게 도입하고, 기존 서비스 기업 대상 지원은 규모·횟수 등을 대폭 확대한다. 서비스업에 특화한 해외 진출 비즈니스 모델 창출 지원을 통해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서비스 선도 기업 400개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서비스 분야 해외 유망 전시회에서 한국관 참가를 확대해 국내 유망 서비스 기업의 해외 진출 홍보를 강화한다. 대규모 금융 지원도 실시한다. 콘텐츠, 정보통신기술, 보건의료 등 주요 서비스 분야에 대해 오는 2027년까지 총 약 64조 원의 수출 금융을 공급한다. 지난 2018~2022년 수출입·산업·기업은행 등 7개 기관의 지원 규모는 50조 원이었는데, 올해부터 5년간 64조 원으로 증액한다. 서비스업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세제지원 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정부는 기획재정부 1차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민간 전문가가 공동 주재하는 서비스산업발전TF 산하 수출활성화반을 통해 이번 방안의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평가한다. 점검 결과는 서비스산업발전TF에 상정해 논의하고, 미흡·지연 또는 보완 필요 과제에 대해선 추가적인 보완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내가 금융문맹?'...초중고 금융교육 의무화해야자녀 경제 개념 길러주기 위한 금융 교육 관심 ↑ / 외면받는 금융교육…전문성 있는 교사도 부족 / '정규 교육과정에서 금융 수업 의무화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ICT 수출, '미중·반도체 의존' 탈피…대상국·품목 다변화 박차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미·중 무역 갈등과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자 정부가 수출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도, 챗GPT·AR 등 문화기술 콘텐츠 유통자금 지원경기도, 챗GPT·AR 등 문화기술 콘텐츠 유통자금 지원 경기도 경기도콘텐츠산업 쳇GPT 경기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콘텐츠 최경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국내 최대 대북지원단체 '북 돕겠다' 수억 받아 유용 정황' | 중앙일보이 단체는 90년대 말부터 남북 민간교류 창구 역할을 해 왔으며, 옛민주당계 인사도 왕성하게 활동해 왔습니다.\r대북지원단체 국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산세수 9조원 가까이 줄어…“주택 거래 등 감소 영향”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부동산과 증권 등 자산 시장에서 9조 원 가까운 세수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