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이태원] 2022년 12월 23일 금요일 1. 이태원 진실규명의 시간…‘그들’의 행적을 보라 2. ‘승진 코스’ 대통령실만 바라본 경찰…‘10만 인파’는 외면했다 3. 재난대응 시스템은 껍데기뿐
용산구·서울시는 무관심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11월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답변을 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앞쪽 오른쪽부터 오세훈 서울시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 강창광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10월29일 서울 이태원 한복판에서 150명이 넘는 젊은 목숨이 스러진 지 50여일이 지났다. 예고된 참사를 대비하지도, 막아내지도 못한 정부의 재난 책임자 가운데 책임지고 물러난 이는 한명도 없다. 여야는 지난달 23일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에 합의했지만, 내년도 예산안 협상 지연과 국민의힘 불참으로 공전하다 지난 21일에야 첫 현장조사에 나서며 정상화했다. 참사의 윗선을 그대로 두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신뢰성을 의심받고 있는 상황에서, 국정조사 기간은 전체 45일 중 보름밖에 남지 않았다. 국정조사 대상에 오른 기관별로 규명해야 할 핵심 의혹들을 짚어봤다.
서울시는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여러 의원들이 최근 5년간 핼러윈 안전 대책 현황 등을 요구하자 “핼러윈 안전대책 현황은 없다” “핼러윈 당시 서울시 차원의 대책회의 자료 등 질서유지를 위해 작성한 문서나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대신 핼러윈 기간 코로나19 방역 점검 인원 현황만 공개했다. 용산구와 마찬가지로 그동안 안전 의제가 논의되지 않은 까닭을 집중적으로 따져봐야 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10월30일 새벽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재난안전 정책과 대응을 총괄하는 중앙 부처인 행정안전부도 넋 놓고 있었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는다. 하지만 ‘의도적 무대응’을 의심할 만한 정황도 있다. 참사 하루 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견에서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한 발언은 그 실마리다.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었다. 경찰·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해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병원 대기실서 하하호호…무례하다 쏘아붙인 '아줌마 수다' 반전 | 중앙일보'그 이야기를 듣고 나는 얼굴이 화끈거렸다. 결국 무례한 사람은 나였다.'병원 암환자 수다 김범석 살아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찰, 이재명 소환 통보…'성남FC 뇌물의혹 조사 받아라' | 중앙일보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소환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검찰 이재명 소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향신문에 '재판으로 본 한국현대사' 연재경향신문에 '재판으로 본 한국현대사' 연재 한승헌 한승헌변호사평전 시대의양심_한승헌평전 김삼웅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시아 돌며 여행객 20여명 살해…'비키니 살인마' 석방, 왜 | 중앙일보그는 재판 과정에서 이보다 훨씬 많은 사람을 살해했다고 털어놓은 바 있습니다.\r비키니살인마 연쇄살인 석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느 정부도 하지 않은 위험천만한 시도어느 정부도 하지 않은 위험천만한 시도 윤석열 안보사 보안사 기무사 방첩사 김형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