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루이비통에 프라다도 군침...명품소비 꺾이자 이게 '반짝'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샤넬·루이비통에 프라다도 군침...명품소비 꺾이자 이게 '반짝'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5%
  • Publisher: 53%

국내 명품 시장이 최근 패션 아이템에서 방향을 틀어 주얼리에 집중하는 모양새입니다.\r명품 주얼리 더하이엔드

국내 명품 시장이 최근 패션 아이템에서 방향을 틀어 주얼리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기존의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물론이고, 팬데믹을 기점으로 증폭됐던 명품 소비에 가방·신발 등을 내세우던 럭셔리 패션 브랜드 대부분이 주얼리 상품을 공격적으로 내세우기 시작했다. 브랜드는 새로운 먹을거리로, 소비자는 남과 자신을 차별화할 수 있는 무기로 주얼리를 선택하고 있다.

2019년부터 붐을 타기 시작한 명품 패션에 대한 수요는 지금 한풀 꺾이는 추세다. 반면 럭셔리 주얼리는 여전히 높은 매출 신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유명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들은 지난해 최소 20%에서 최대 50%까지 성장했다. 실제로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2021년 44.9%의 신장률을 기록했던 명품 매출은 올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3.6%로 급감했지만, 럭셔리 주얼리군은 성장률 20.5%로 두 자릿수를 지켜냈다. 명품 소비 길어지며 다음 단계 원해 주얼리는 이를 소비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도, 공급하는 브랜드 입장에서도 환영하는 새로운 ‘럭셔리’ 영역이다. 먼저 소비자 입장에서 주얼리는 자신을 남과 다르게 보이게 하는 최고의 과시품이다. 국내 명품 소비층이 늘어나고 또 명품 소비 시간이 길어지자 이제 더는 가방이나 신발 같은 웬만한 패션 상품으로는 차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가방으로 했던 ‘과시’가 이젠 주얼리 정도는 돼야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패션 상품처럼 유행을 타지 않아 훗날 팔 때 확실하게 시세차액을 볼 수 있다는 점도 소비를 부채질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소비 3개월째 감소...생산은 넉달 만에 반짝 반등소비 3개월째 감소...생산은 넉달 만에 반짝 반등소비 3개월째 감소...생산은 넉달 만에 반짝 반등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5:57:19